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NGO 레버재단, 동물복지 달걀 연간 수요 증가 전망

이병학 기자

2024-12-28 09:00:00

사진 : 레버재단 제공
사진 : 레버재단 제공
[빅데이터뉴스 이병학 기자]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와 NGO 단체 레버재단(이하 레버)은 동물복지 달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요 식품 기업들의 동물복지 달걀 공급망 구축 정책에 힘입어 국내 동물복지 달걀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 기업들의 정책 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동물복지 달걀 연간 수요는 6억 2,400만 개, 2035년까지는 12억 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레버재단에 따르면, 풀무원, 컬리, 커피빈, 갤러리아 백화점, 스타벅스, 네슬레, 유니레버 등 국내 식품 기업 60여 곳이 향후 몇 년 내 동물복지 달걀을 전면 도입할 계획이다. 늘어난 동물복지 달걀 수요의 61%는 음식점 및 카페 기업이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어 식품 기업이 17%, 종합 소매업은 9%, 호텔 기업과 일용소비재가 각각 7%와 6%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 정책기획국 이진혁 국장은 “동물복지 달걀의 이점을 대중에게 알리는 것은 의미 있는 변화를 끌어내는 데 중요하다”며, “레버와 협력해 동물복지 달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소비자의 현명한 선택을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소비자의 기대에 부응해 동물복지 달걀 소비를 촉진해 더욱 윤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식품 시스템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아시아태평양 소비자 조사기관인 GMO 리서치(GMO Research)가 2024년 6월에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동물복지 달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 소비자의 79%는 음식점, 대형 마트, 포장소비재 기업들이 동물복지 달걀만 판매하기를 원한다고 답했으며, 응답자의 67%는 동물복지 달걀만을 판매하는 정책을 가진 기업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한국의 동물복지 달걀 농가 수는 2014년 이후 58가구에서 245가구로 증가했으며, 현재는 500만 마리의 동물복지 산란계가 사육되고 있다. 동물복지축산농장인증제와 난각표시제와 같은 정부 정책들은 기업과 소비자가 동물복지 달걀을 식별하고 선택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을 제공하며, 동물복지 달걀 전환에 기여하고 있다.

레버재단 한국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오세교 팀장은 “동물복지 달걀은 단순히 소비자의 선호를 넘어 비즈니스에 필수적인 전략”이라며, “인도적인 공급 정책을 일찍이 도입하는 기업이 윤리·안정성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전했다.

케이지 달걀과 비교했을 때, 암탉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개방된 실내 환경에서 생산된 동물복지 달걀은 동물복지를 개선하고 식품 안전 위험성을 낮추는 데 기여한다. 유럽식품안전청(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의 연구에 따르면, 동물복지 달걀 농장은 주요 살모넬라균에 의한 오염률이 25배 가까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유럽식품안전청은 유럽 전역에서 동물복지 달걀 생산만을 허용하라는 권고를 발표한 바 있다.

레버재단은 아시아, 유럽, 북미, 라틴 아메리카 전역의 구성원들과 함께하는 국제 비영리단체다. 레버재단은 기업들이 보다 인도적이고 안전하며 지속 가능한 공급망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동물성 단백질 개선과 대체 단백질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병학 빅데이터뉴스 기자 lbh@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