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적 투명성 vs 소액주주 보호 미흡으로 번지는 한화우 상폐
“단순 주식 시장 이슈 아닌 지배구조 본질적 문제와 맞닿아”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화우는 오는 15일 상폐가 결정됨에 따라 정리매매에 들어갔다. 올해 상반기 말 한화우의 상장주식 수는 19만9033주로 유가증권시장 상장 규정상 2개 반기 연속 20만주 미만일 경우 상폐가 된다는 점을 들어 이를 공식화했다.
앞서 한화는 지난해 7월 이사회 결의를 통해 1우선주 전량(25만2191주)을 장외에서 매수해 소각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상장주식이 20만주 미만으로 줄면서 상폐 요건을 충족하게 됐다.
또한 공개매수 가격은 4만500원으로 책정됐다. 이는 3개월 평균가 대비 24.5%, 1개월 평균가 대비 19.8%로 직전일 종가 대비 11.4%의 할증이 붙은 가격이다. 특히 보통주 시세인 약 2만9000원보다도 높은 수준이었다.
일부 소액주주들은 한화가 의도적으로 상장폐지 요건을 맞추기 위해 주식 소각 수량을 조절했다고 주장하며,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하거나 주당 순자산가치(BPS)를 반영한 추가 공개매수를 요구하고 있다.
◆ 한화 3세 형제, 한화에너지·㈜한화의 지분구조
업계 일각에서는 이번 한화우 상폐가 한화그룹의 지배구조 단순화와 오너일가의 영향력 강화 전략의 일환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일단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거나 제한적이다. 따라서 상폐를 통해 소액주주와 이해관계 충돌을 줄이고 의결권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화그룹은 ㈜한화를 지주회사로 두고 오너일가가 보통주를 중심으로 지배력을 행사하는 구조다. 따라서 한화우 상폐는 그룹 내 지배구조를 단순화하고 오너일가의 지분율 및 의결권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한화 3세 형제(김동관·김동원·김동선)는 한화에너지 지분을 100% 보유하고 있다. 이날 기준 한화에너지는 △김동관 부회장 50% △김동원 사장 25% △김동선 부사장 25%로 구성돼 있다. 더욱이 한화에너지는 ㈜한화의 주요 주주로 ㈜한화 보통주를 지속적으로 매입해왔다.
실제 지난해 7월 한화에너지는 ㈜한화 보통주 발행주식총수의 8%에 해당하는 600만 주를 목표로 공개 매수를 진행했고, 약 390만 주(5.2%)를 추가로 매입해 지분율을 9.7%에서 14.9%로 끌어올렸다. 이보다 앞선 2021년에도 한화에너지는 ㈜한화 보통주 5.5%를 매입한 바 있다.
㈜한화가 한화그룹 지배구조 최상단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한화 오너 3세들은 한화에너지를 통해 ㈜한화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해 온 것이다. ㈜한화에서 한화에너지는 18.8%를 보유한 2대 주주다.
결국 ㈜한화를 지주회사로 두고 오너일가가 보통주를 중심으로 지배력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한화우의 상폐가 중요하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한화우 상폐와 같이 지배구조 강화, 승계를 명시적인 이유로 내세워 우선주 상폐를 단행하고 공식적으로 밝힌 대기업의 사례는 드물다.
그렇기에 한화우 상폐를 놓고 대기업 경영권 구조, 소액주주 보호라는 두 축의 갈등도 드러났다.
한화그룹은 한화우 상폐에 대해 “유통량 및 거래량이 적어 시세조종과 급등락 위험이 크다”며 시장 질서와 주주 보호를 명분으로 상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한화그룹은 1년 전부터 자사주 매입·소각, 상폐 가능성을 공시했고, 매수설명서도 자율공시로 공개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소액주주 보호 논란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증권업계 관계자는 "우선주 상장 폐지의 경우 기업 경영 효율성이나 배당 여력 제고 등 긍정적인 효과도 많다"며 "동시에 자사주 매입·소각·상폐 등을 통해 지배구조를 단순화하고 오너일가의 실질적 영향력을 높이는 전략으로도 활용된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는 "소액주주 보호, 대주주 지배구조 재편 사이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덧붙엿다.
임이랑 빅데이터뉴스 기자 iyr625@naver.com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