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13개 지역에서 624종 ETF 운용

한국을 포함해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전 세계 13개 지역에서 624종의 ETF를 운용 중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2조원의 순자산을 기록하며 세계 12위 ETF 운용사로 성장했다. 2021년 100조원을 돌파한 이후 약 3년 만에 두 배 성장을 달성한 것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11년 국내 운용사 최초로 홍콩증권거래소에 ETF를 상장하며 글로벌 ETF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미래에셋그룹 글로벌전략가(GSO) 박현주 회장은 2011년 캐나다 'Horizons ETFs(現 Global X Canada)'를 시작으로, 2018년 미국 'Global X', 2022년 호주 'ETF Securities(現 Global X Australia)' ETF 운용사와의 인수합병(M&A)을 추진하며 미래에셋자산운용을 글로벌 ETF 운용사로 성장시켰다.
특히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해외 현지에서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전 세계 ETF 시장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Global X'의 운용자산 규모는 인수 당시에 비해 현재 5배 이상 증가했으며, 'Global X Canada'는 인컴형 ETF를 중심으로 캐나다 4위 ETF 운용사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일본 유일의 ETF 전문운용사 'Global X Japan', 홍콩을 넘어 중국 본토 ETF 시장에 진출한 'Global X Hong Kong' 등 각 법인들은 현지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인도 시장에서의 성과도 주목할 만하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인도 진출 16년 만에 현지 9위 운용사로 성장했으며, 최근 ETF 순자산 2조원을 돌파했다. ETFGI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연평균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 ETF 순자산 성장률은 61.1%로, 인도 전체 ETF 시장 성장률(23%)을 크게 웃돌았다.
김영환 미래에셋자산운용 혁신/글로벌경영부문 총괄 대표 사장은 "미래에셋 그룹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며 "당사의 글로벌 ETF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차별화된 상품과 투자 솔루션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노후 준비를 도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양민호 빅데이터뉴스 기자 ymh@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