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간담회는 국제유가 상승, 계절적 요인, 유류세 일부 환원 시행 등에 따라 국내 석유가격의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석유업계와 직접 소통하며 국민부담 완화를 위한 해법을 모색하고자 마련됐고, 석유업계의 주요 현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최남호 2차관은 “4월 이후 물가상승세가 다소 둔화됐지만 체감물가는 여전히 높은 상황으로 정부 차원에서 국민들의 석유가격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리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라며 “업계도 과도한 가격인상은 자제하고 석유가격 안정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에 뜻을 함께 모아줄 것”을 당부했다.
석유업계도 상생의 정신을 발휘해 국제가격 상승에 따른 석유제품 공급가격 인상과 직영주유소의 판매가격 인상을 최소화하는 등 정부의 물가안정 노력에 동참하기로 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글로벌 환경규제에 따라 친환경 연료로의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는 항공유 분야에 대한 논의도 심도 깊게 진행됐다.
최남호 2차관은 “지속가능항공유(SAF) 사용 확대는 우리 석유산업의 새로운 기회이자 도전으로써 석유·항공업계 및 전문가, 관계부처 등과 협의해 금년 3분기 중 국토부와 공동으로 지속가능항공유 확산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발표할 것”이라고 언급하고 “석유업계에서도 과감한 투자로 화답해 줄 것”을 요청했다.
산업부와 정유 4사는 올 하반기 수출 확대 및 실적 개선을 위해 필요한 단기적인 애로 사항과 위험요인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누고, 향후 석유시장 점검회의 등을 통해 민관이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유기적으로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분석을 통해 최근 1년간 온라인에서 석유가격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강지용 빅데이터뉴스 기자 kjy@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