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월초 ‘문재인 케어’로 표현되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이 발표되며 30조원에 달하는 추가예산이 지출 될 것으로 예상되며 건강 및 헬스케어 업종이 주목을 받고 있다는 것,
실제로 카스(CAS)가 헬스케어 시장 진출로 재도약을 위해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확보로 연구개발 및 마케팅, 생산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데 건강관리보험공단에서 실시한 ’2017년 금연치료프로그램 이수자 건강관리물품’ 사업 33억 규모에서 체중계 23억을 수주한 바 있다.
카스 관계자는 “현재 체온계의 신제품 출시를 계획하고 있으며 신제품 또한 공존의 히트를 칠 것”이라며 “특히 그 중 체온계는 기존의 방식인 이마나 귓속을 통해 체온을 측정하던 방식을 벗어나 4way 방식으로 좀더 편리하고 정확하게 체온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련된 디자인과 제품의 편의성을 소비자들에게 사랑을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카스는 매년 20%이상 꾸준히 성장해 2015년 56억이던 있는 헬스케어 분야의 매출이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53억이 넘은 것으로 나타나, 연말이면 120억 원의 매출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울러 이 회사는 산업용 자동화 시장확대에 따른 전문기술확보(시스템엔지니어링)로 2016년 78억 매출액이었으나 2020년까지 약 250억원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함께 현재 한국중소제약 협동조합과 향남 제약단지 내에 있는 회사들과 협의를 진행하고있으며 기존 해외기업이 대거 포진된 제약산업 및 식품산업 시장에 진출 100억 이상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대 농민단체단체인 ‘한국 쌀 전업농 중앙연합회’와 2016년 MOU 체결을 통해 농민과 함께 연구 개발해 현장에 적합한 톤 백 자동화저울, 색채선별기, 이동형 저울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2018년 100억 이상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이승주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