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금융은 전통적인 금융의 기능인 '결제 및 중개'기능을 최신의 정보기술을 바탕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최근에는 오프라인서 불가능했던 새로운 업무 영역들이 개척되고 있다.
18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X(옛 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 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3분기 6대 시중 은행의 '디지털 금융' 관심도(정보량=포스팅 수)를 조사했다고 밝혔다.
조사 키워드는 '시중은행 이름 + 디지털 금융'으로, 키워드 사이에는 한글 기준 15자 이내만 결과값으로 도출했기 때문에 실제 정보량은 달라질 수도 있다.
분석 결과 하나은행이 올 3분기 디지털 금융 관심도 1위에 올랐다. 하나은행의 올 3분기 디지털 금융 정보량은 총 1172건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367건에 비해 무려 219.35% 증가했다.
지난 7월 네이버 카페에는 하나은행이 디지털 금융 소외계층의 디지털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교육부와 '디지털 금융 문해력 향상 및 금융소비자 보호 교육 활성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는 내용의 기사가 공유됐다.
신한은행은 올 3분기 총 1057건의 정보량을 보였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 1017건에 비해 3.93% 소폭 늘어났다.
지난 9월 뽐뿌에는 신한은행이 누구나 쉽게 디지털 금융을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인천에 금융 교육 센터를 개관했다는 글이 올라왔다.
신한 학이재에선 교육용 신분증과 통장을 활용한 디지털 금융 기기 체험, 교육용 태블릿을 이용한 모바일 앱 쏠 체험 등이 가능하다.
우리은행은 올 3분기 총 836건의 포스팅 수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623건에 비해 34.19% 증가한 수치다.
지난 9월 우리은행은 중소기업의 디지털금융 혁신을 위해 신용보증기금과 손을 잡음으로써 유저의 시선을 잡았다.
NH농협은행은 올 3분기 670건을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 120건 대비 458.33%나 늘었다.
증가율로는 6개 시중은행중 가장 높았다.
KB국민은행이 올 3분기 490건의 디지털 금융 정보량을 보였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19건에 비해 311.76%나 늘어난 수치다.
IBK기업은행은 올 3분기 총 290건의 정보량을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 213건에 비해 36.15% 늘었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최근의 디지털 금융은 전자화폐, 전자지급결제, 인터넷 뱅킹 분야 등에서 첨단 전자기술을 바탕으로 업무의 구조, 방식 및 제도가 혁신적으로 전환된 것을 의미하는데 MZ세대는 물론 중장년층과 일부 고령층에도 폭넓게 확산하고 있어 이 부문에 대한 은행의 관심도는 중요할수 밖에 없다"면서 "6대 시중은행 전체적으로 올 3분기 '디지털 금융' 관심도가 전년 비 배 가까이 상승, 업계의 미래세대 선점전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한시은 빅데이터뉴스 기자 bdhse@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