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기반 고객확인의무(CDD) 검증 절차, 고객 위험 관리 체계 인정받아

'자금세탁방지의 날'은 금융정보분석원이 투명한 금융거래 질서 확립을 위해 2007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행사로, 자금세탁방지 제도의 이행과 확산에 기여한 우수 기관 및 개인을 포상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이번 평가에서 비대면 금융 환경에 최적화된 자금세탁방지 체계를 구축하고, 데이터 기술로 자금세탁 위험을 차단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주요 성과는 레그테크(RegTech) 기반의 시스템 고도화로 ▲비대면 고객확인(KYC) 정확도 제고 ▲ 의심거래보고(STR) 체계 활성화 ▲인터넷전문은행 특화 위험 평가 모델 구축 ▲가상자산 거래 투명성 확보 노력 등이 꼽혔다.
카카오뱅크는 공공 마이데이터와 스크래핑 기술을 적극 도입해 비대면 실명 확인 절차를 개선했다. 고객이 직접 정보를 입력하는 대신 등본상 주소 정보와 사업자등록증명원상 업종 정보 등을 시스템이 자동으로 수집, 검증하도록 하여 비대면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 오차를 줄이고 신뢰도를 높였다.
'고객 위험 평가 모델'도 고도화했다. 자금세탁 위험이 높은 'ATM 과다거래 고객', '가상자산 거래 활성 고객' 등을 고위험군으로 분류해 관리 감독을 시행 중이며, 직관적인 거래 분석 기능, 고액현금거래보고(CTR) 운영 체계를 정교하게 설계해 모니터링의 효율성도 높였다.
이외에도 고객확인 재이행 주기가 도래한 고객에게 안내 강도를 단계별로 차등화하고, 장기 미이행 시 앱 접속을 제한하는 등 강력한 정책 운영으로 이행률을 제고했다. 내부적으로는 법 집행기관 출신 전문가 초청 특강, 외부 전문 콘퍼런스 참여 등을 통해 AML 전담 인력의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이번 수상을 계기로 책임감을 더욱 무겁게 느끼며, 앞으로도 기술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욱 촘촘하고 안전한 금융 안전망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ksa@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