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건설, 10월 비수도권 건설사 온라인 관심도 1위…동원·제일·중흥 순

곽현철 기자

2025-11-28 07:18:20

사진 = 데이터앤리서치
사진 = 데이터앤리서치
[빅데이터뉴스 곽현철 기자] 계룡건설이 10월 국내 비수도권 건설사들 중 가장 높은 관심도(정보량=포스팅 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동원개발과 제일건설, 중흥(중흥토건·중흥건설)이 뒤를 이었다.

28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본지 의뢰로 뉴스·커뮤니티 등 다양한 채널과 사이트를 대상으로 2025년 3분기 국내 시공능력평가 기준 비수도권 거점 건설사 10곳의 포스팅 수를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올해 7월 31일에 발표한 '2025년도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 100위 안에 오른 건설사 중 10곳을 임의 선정했으며 정보량 순으로 △계룡건설(본사 대전, 013580) △동원개발(본사 부산, 013120) △제일건설(본사 광주) △중흥(본사 광주) △HS화성(본사 대구, 002460) △대광건영(본사 광주) △요진건설(본사 강원 원주) △금성백조건설(본사 대전) △서한(본사 대구, 011370) △태왕건설(본사 대구) 등이다.

분석 결과, 계룡건설이 4236건을 기록하며 10월 비수도권 건설사 관심도 1위를 차지했다.
지난달 30일 복***라는 네이버 증권 종목토론방 유저는 계룡건설 주가를 낙관했다. 그는 "계룡시가 1700억원 규모의 도로 건설 사업을 비롯해 향후 몇 년 간의 수주 잔고를 현재 확보했다"며 "자산이 3조원 이상인데다 1년 내 현금화가 가능한 유동자산이 약1조원"이라며 근거를 제시했다.

같은달 28일 아*****이라는 유저는 네이버 부동산 전문 카페에서 부천시 원종동 일원에 들어서는 '엘리프 원종'의 11월 분양 기사를 공유했다. 기사에 따르면 "시공사인 계룡건설은 55년 동안 전국 곳곳에서 풍부한 시공 경험을 쌓아오며 국내 건설문화를 주도해 왔다"며 "지난해 기준 국내 공공건설 수주 1위에 이름을 올렸다"고 전했다.

같은달 24일 바**라는 유저는 네이버 부동산 전문 카페에서 엘리프 한신더휴 수원 공급 소식을 알렸다. 그는 "'엘리프 한신더휴 수원'은 당수1지구 내 중심상업부지와 가깝기 때문에 편리한 상권 이용이 가능하다"며 "2029년 개통 예정인 신분당선 호매실역과 가깝고 금곡IC 및 GTX-C노선이 예정되어 있기에 서울 및 수도권 주요 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고 했다.

동원개발은 2398건의 정보량을 기록하며 관심도 2위에 올랐다.

지난달 3일 부***라는 네이버 블로거는 광안 센텀 비스타동원을 분석했다. 그는 "주변 지역의 재개발 및 상업 시설 개발 등 끊임없는 도시 재생 사업은 광안 센텀 비스타동원의 주거 가치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킬 촉매제가 될 것"이라며 "실거주자 및 투자자들의 수요는 광안 센텀 비스타동원의 가치를 유지시킨다"고 평가했다.

같은달 28일 엘*라는 네이버 블로거는 부산의 공유오피스인 드림워크 시청역점 후기를 남겼다. 그는 "드림워크 시청역점은 45년 동원개발 그룹의 운영 노하우가 담긴 공간"이라며 "소규모 창업가나 프리랜서에게는 조용하면서도 완벽히 분리된 근무 환경이 매력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제일건설은 2272건의 정보량을 기록하며 관심도 3위를 차지했다.

지난달 12일 동***라는 유저는 네이버 부동산 전문 카페에서 청주 신분평지구 더웨이시티 제일풍경재 모델하우스를 방문기를 게시했다. 그는 "비수도권에서는 제일건설 브랜드가 확실한 편이라 시공 불안을 말하는 분위기는 없었다"며 "주변 시세와 비교해 경쟁력 있는 가격 책정이 이뤄질 예정이라는 업체의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고 현장의 분위기를 전달했다.

이밖에 △중흥 974건 △HS화성 539건 △대광건영 251건 △요진건설산업 233건 △금성백조건설 199건 △서한 192건 △태왕건설 40건 순으로 나타났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10월 비수도권 건설사의 포스팅 수는 총 1만1334건으로 직전 월인 9월 총 1만496건에 비해 838건, 7.98% 비수도권 아파트 시장에 훈풍이 불 조짐이 일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곽현철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