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뱅 3사, 1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 상회

인터넷은행 3사, 1분기 중·저신용자 대출액 규모 29조원
새로 도입된 신규취급액 비중, 케이뱅크만 기준치 하회

임이랑 기자

2025-05-23 18:26:10

ⓒ연합뉴스
ⓒ연합뉴스
[빅데이터뉴스 임이랑 기자] 국내 인터넷전문은행 3사(케이·카카오·토스)가 올해 1분기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공급 목표를 초과달성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금융당국은 올해부터 잔액 기준(평잔 30%)에 신규취급액 기준 30% 이상이라는 추가 목표를 부과했다.

이에 인터넷전문은행 3사 모두 평균잔액 기준으로는 기준치를 넘겼지만 케이뱅크만 신규취급액 비중 30%를 넘지 못했다.

23일 인터넷전문은행 3사가 발표한 중·저신용자 대출액 규모는 29조원에 달한다. 우선 케이뱅크는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잔액 기준)이 35%를 기록하며 인터넷전문은행 3사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올해 1분기 케이뱅크가 신규로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2544억원이며, 누적 공급 규모는 7조4203억원이다. 다만, 신규취급액의 경우 평균 잔액 기준이 26.3%를 기록했다.

케이뱅크는 “평균잔액은 조기에 공급할수록 반영률이 높아진다”며 “연초에 건전성 관리에 집중하다보니 2, 3월에 중·저신용대출 비중이 더 높아 반영률이 낮아져 기준치에 미달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1분기 말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은 32.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규 취급한 신용대출에서 중·저신용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33.7%를 기록하며 목표치인 30%를 상회했다.

같은 기간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34.3%로, 비중 목표도 30.4%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까지 32만8000명의 중·저신용자에게 9조원의 대출을 공급한 것이다.

한편, 인터넷전문은행은 설립 취지에 따라 금융당국이 제시하는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목표를 유지해야 한다.

임이랑 빅데이터뉴스 기자 lim625@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