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SK텔레콤 청문회에는 이 회사 최고경영자(CEO)인 유영상 사장, 류정환 부사장을 비롯한 경영진과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이상중 한국인터넷진흥원 원장 등이 주요 증인으로 참석했다.
과방위 소속 의원들은 청문회에 불참한 최태원 회장을 한 목소리로 비판했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청문회를 통해) SK그룹은 고객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었다"며 깊은 유감을 표했다. 이 의원은 최 회장이 앞서 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코리아) 통상 관련 행사 참석을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한 것과 관련 "어떤 회의가 2300만 SK텔레콤 고객보다 중요한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꼬집었다.
이훈기 민주당 의원도 "(경영진의) 책임 있는 답변이 없다면 응분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같은 당 이정헌 의원은 최 회장이 전날 한 대국민 사과에 "진성성이 의문이다"라고 거들었다.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최 회장을 포함해 청문회에 불출석한 증인들을 고발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최 회장 이외에도 김태규 방통위 부위원장이 증인으로 채택됐지만,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하지 않은 채 회의에 나오지 않았다.
최 위원장은 "최태원 회장은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지만, 국회에서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국회 증감법)상 제출 시한을 도과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당한 이유 없이 불출석한 증인에 대해서는 국회 증감법에 따라 고발이 가능하다"며 "오늘 출석하지 않은 증인에 대해서는 간사와 협의를 거쳐 증감법 15조에 따라 고발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영상 사장을 향한 성토도 잇따랐다. 앞선 이훈기 의원은 SK텔레콤 이탈 고객에 대한 위약금 면제와 관련해 "저번에 한 말(위약금 면제)은 위증이냐, 위증으로 고발하겠다"고 말했다. 유 사장이 "법적 문제뿐 아니라 이동통신 생태계와 사내 손실과 관련된 부분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탓이다.
질의 순서를 넘겨 받은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도 위약금 문제를 들어 유 사장을 압박했다. 박 의원은 '회사 귀책 사유'가 명시된 SK텔레콤 이용 약관을 제시하며 "이미 정보 유출 불안으로 (고객이)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어떤 상황이 되면 위약금 면제를 결정할 거냐, 통신은 국가에서 혜택을 받고 하는 사업 아니냐"고 물었다.
이에 유 사장은 "단순히 위약금 손실액 2500억원 말고도 3년치 매출까지 고려한다면 7조원 이상 손실이 예상된다"면서 또 다시 즉답을 회피했다.
성상영 빅데이터뉴스 기자 ssy@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