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북미·호주 등 해외 식품사업 매출 상승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14.1% 증가해 3분기 연속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자회사인 CJ대한통운을 포함한 연결기준 실적은 7조2386억 원의 매출과 3,836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0.3%, 11.3% 증가한 수치다.
사업부문 실적으로는 식품사업부문은 2조7051억 원의 매출(-1%)과 1359억 원(-4.8%)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매각한 중국 자회사 지상쥐 분을 제외하면 매출(+1%)과 영업이익(+2%) 모두 성장했다. 국내 식품사업(매출 1조3807억 원)은 소비심리 위축에도 불구하고 주요 제품인 햇반(+18%), 만두(+12%) 등 가공식품 매출이 3% 증가했다.
해외 식품사업(매출 1조3244억 원)은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유럽은 영국뿐 아니라 독일, 네덜란드 등 서유럽 중심으로 주요 유통채널에 입점을 가속화하며 매출이 57% 증가했다. 북미는 주력 제품인 만두(+28%), 상온 가공밥(+24%) 등 글로벌전략제품(GSP)과 피자(+12%)가 안정적인 성장을 이끌었다.
바이오사업부문은 ‘수익성 극대화’ 전략을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품목 판매를 확대해 매출 1조564억 원(+1%), 영업이익 990억 원(+17.4%)을 기록했다. 고수익 제품인 트립토판(+38%), Taste&Nutrition(+37%), 스페셜티 아미노산(+15%)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특히, Taste&Nutrition 사업 중 프리미엄 조미 시장을 이끌고 있는 ‘테이스트엔리치(TasteNrich)’는 글로벌 시장에서 수요를 회복하면서 판매량이 20% 이상 늘었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 Feed&Care는 5699억 원의 매출(-12%)과 341억 원의 영업이익(+288%)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다. 주요 사업국가에서의 사료∙축산 판매량 축소로 매출은 줄었으나, 양돈∙축산 판가가 안정화되는 동시에 원가 절감 노력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글로벌전략제품(GSP)을 앞세워 ‘K-푸드 신영토 확장’에 집중하는 한편, 경영 효율화를 통해 ‘질적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강지용 빅데이터뉴스 기자 kjy@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