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브랜드 기획⑤] 두산위브, 지난해 관심도·호감도 모두 상승...“주부 마케팅 필요”

강지용 기자

2023-07-12 08:15:45

자료=데이터앤리서치(이하 동일)
자료=데이터앤리서치(이하 동일)
[빅데이터뉴스 강지용 기자] 빅데이터뉴스는 여론조사기관인 데이터앤리서치에 의뢰해 건설업계 아파트 브랜드를 대상으로 분석 시리즈를 기획 연재합니다.
각 건설사들의 브랜드 아파트 중 오랜 기간 소비자들에게 잘 알려진 브랜드를 대상으로 지난 2년간 포스팅수(정보량=소비자관심도), 호감도, 2022년 해당 아파트 브랜드 포스팅 유저의 성(性)별 연령 등을 분석합니다.
1회 힐스테이트, 2회 푸르지오, 3회 센트레빌, 4회 한신더휴에 이어 이번 5회에는 두산건설의 '두산위브' 브랜드를 분석했습니다.이후에는 효성중공업 해링턴 플레이스, GS건설 자이, KCC건설 스위첸, 우미건설 우미린, 삼성물산 래미안, 중흥그룹 중흥S클래스, 계룡건설산업 리슈빌(엘리프), DL그룹 e편한세상, HDC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두산건설 두산위브, 롯데건설 롯데캐슬, 코오롱글로벌 하늘채, 금호건설 어울림, ㈜한화 건설부문 포레나, 서희건설 스타힐스, 반도건설 유보라, SK에코플랜트 SK뷰, 동양건설산업 파라곤, 제일건설 제일풍경채, HL디앤아이한라 한라비발디, 포스코이앤씨(옛 포스코건설) 더샵, 태영건설 데시앙, 금성백조주택 예미치, 동원개발 동원로얄듀크, 부영주택 사랑으로, 호반그룹 호반베르디움, ㈜한양 수자인, 한양건설 한양립스(이상 無순) 등을 빅데이터 분석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다음회부터는 2021.7.1~2022.6.30 vs 2022.7.1~2023.6.30 두 기간을 비교해 분석할 예정입니다.<편집자 주>

경기 침체와 고금리 여파로 지난해 아파트를 비롯한 부동산 시장 분위기는 저조했으나 두산건설의 아파트 브랜드 ‘두산위브’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와 호감도는 직전 연도인 2021년에 비해 오히려 상승하면서 기업 이미지는 한층 호전되는 모양새다.

특히 10~30대의 관심도는 90%를 넘기는 것으로 분석돼 고무적이었다.

12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본지 의뢰로 뉴스·커뮤니티·카페·유튜브·블로그·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두산위브에 대해 2021년부터 2022년도까지 연도별 온라인 정보량을 빅데이터 분석했다고 밝혔다.

2년간 연도별 포스팅 수 (정보량=관심도)를 분석한 결과 두산위브는 2021년 총 31만 2,337건의 정보량을 기록했으며, 1년 중 11월에 가장 많은 3만 1,001건을, 2월에 가장 적은 1만 9,820건을 나타냈다.

2022년의 경우 직전 연도인 2021년에 비해 총 정보량이 3.5% 늘어난 32만 3,254건을 기록했다. 1년 중에선 7월 가장 많은 3만 254건의 정보량을, 직전달인 6월에 가장 적은 2만 4,493건의 정보량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2년 연속 두산위브 정보량은 2만 건 안팎이었지만 3만건을 웃돌기도 했다.

2021년 11월 두산그룹은 당시 두산중공업(현 두산에너빌리티)이 보유한 두산건설 경영권을 사모펀드 더제니스홀딩스(신영증권, 큐캐피털파트너스 등)에 2,580억 원, 제3자 배정방식의 유상증자를 통해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이와 관련해 온라인상 관심도는 급상승했다.

2022년 7월에는 아파트 신규 공급이 감소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인천 동구 ‘두산위브 더센트럴’ 공급 소식과 함께 강원 원주에 두산건설 프리미엄 아파트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 원주'가 분양되면서 이에 대한 관심도가 크게 높아졌다.

지난해 대외환경이 좋지 않고 부동산 경기도 급락하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두산위브에 대한 관심도는 오히려 상승했다.

[아파트 브랜드 기획⑤] 두산위브, 지난해 관심도·호감도 모두 상승...“주부 마케팅 필요”
데이터앤리서치는 두산위브에 대한 호감도 조사도 실시했다.

두산위브는 지난 2021년 긍정률 72.47%, 부정률 5.40%를 기록했으며 긍정률에서 부정률을 뺀 값인 순호감도는 67.07%를 기록했다.

2022년 긍정률은 전년 대비 1.48%P 상승한 73.95%를 기록했으며 부정률은 0.11%P 하락했다. 이에 2022년 순호감도는 전년 대비 1.59%P 상승한 68.66%를 기록, 타 업종 대비 높은 호감도를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지난해 1월 유튜브 채널 ‘직방TV’에는 “유주택자 1순위 가능한 곳도 있다? 경기광주 분양 6곳!”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업로드됐다. 청약 시장에서 주목받은 경기 광주를 언급하면서 지난해 광주시에 분양 예정이었던 ▲곤지암역세권아이파크 ▲탄벌 에코타운파라곤 & 서희스타힐스 ▲광주송정공원 중흥S-클래스 ▲광주민간공원 태영데시앙 소개와 함께 두산위브광주센트럴파크가 거론됐다.

지난해 8월 네이버 카페 ‘피터팬의 좋은 방 구하기’의 한 유저는 “안양 평촌두산위브 거주후기”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이 유저는 “방범·방음·치안·소음 등에서 5점 만점에 5점을 준다”며 “이 집을 다른 사람에게 추천한다”고 밝혔다. 참고로 해당 카페에서는 ‘경기도 화성시 능동 푸른마을 두산위브 거주 후기’ 등 다른 지역의 두산위브 거주 후기도 여럿 포착됐다.

지난해 12월 커뮤니티 채널 디시인사이드 부동산갤러리의 한 유저는 “(시흥) 대야동 두산위브? 여기 어떰?”이라는 제하의 글과 함께 무난하냐며 유저들의 평가를 요청했다. 이에 “역세권이라 좋긴한데 주변환경이 좀 그렇다. 가격 저렴하게 매매할수 있다면 나중에 발전가능성은 좀 있을거다. 우측에 철강공장 철거하고 소래산 가는길좀 정비되면 나름 개안음”, “지금은 상권이 부족하긴한데 옆에 땅 공장철거하고 힐스테이트 아파트도 들어오면 좀 살만해질 듯”과 같은 댓글이 달렸다.

반면 두산위브에 대한 부정적 시선도 존재했다.

지난해 12월 디시인사이드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의 한 유저는 “두산위브 장림에 왜 건설하는지 이해안감ㅋㅋㅋ”이라는 글을 올리면서 “(건설 부지)근처에 공장지대인데 XX”라고 비판했다. 그러자 “앞에 화물차 XX다니고 사람살만한데 못됨 거기는”, “길도 XX XX 맨날 공사해서 막히고 지금은 공사 끝났나모르겟다” 등 동의성 댓글이 줄을 이었다.

[아파트 브랜드 기획⑤] 두산위브, 지난해 관심도·호감도 모두 상승...“주부 마케팅 필요”
두산위브의 주요 연관키워드 TOP 10을 분석한 결과, '자이'가 최다 정보량을 기록했다.

두산위브의 정보량에 나타난 주요 10개 연관키워드는 △자이 5만 6,236건 △푸르지오 4만 9,546건 △제니스 4만 9,489건 △경기도 4만 8,242건 △래미안 3만 9,061건 △센트럴 3만 8,286건 △힐스테이트 3만 5,509건 △두산 3만 5,363건 △현대 3만 2,468건 △아이파크 3만 2,444건 순으로 나타났다.

‘위브’가 두산건설 아파트 브랜드라는 특성 상, 연관 키워드로 타 건설사 브랜드가 다수 언급됐다. 이는 소비자가 두산위브를 검색하면서 타 건설사 브랜드도 함께 알아보며 부동산 시장을 살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또한 현재 국내 주요 분양 수요와 거주 빈도수가 경기도로 몰리면서 이와 관련 경기도라는 키워드가 상위에 랭크된 점도 주목할 점이다.

[아파트 브랜드 기획⑤] 두산위브, 지난해 관심도·호감도 모두 상승...“주부 마케팅 필요”
두산위브의 채널별 정보량을 살펴본 결과 뉴스·커뮤니티·카페·유튜브·블로그·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가운데 2년 연속 '블로그'의 정보량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두산위브의 2021년 채널별 정보량은 ▲블로그 14만 9,780건 ▲카페 8만 8,629건 ▲뉴스 1만 9,913건 ▲인스타그램 1만 5,860건 ▲기업/단체 1만 2,954건 ▲트위터 1만 2,130건 ▲커뮤니티 7,602건 ▲유튜브 3,627건 ▲지식인 794건 ▲카카오스토리 481건 ▲정부/공공 356건 ▲페이스북 211건 순이었다.

2022년 정보량의 경우 ▲블로그 15만 6,133건 ▲카페 8만 9,616건 ▲뉴스 2만 672건 ▲인스타그램 1만 2,331건 ▲기업/단체 5,762건 ▲트위터 2만 240건 ▲커뮤니티 6,771건 ▲유튜브 1만 177건 ▲지식인 489건 ▲카카오스토리 473건 ▲정부/공공 507건 ▲페이스북 83건 순으로 나타났다.

채널별 증감 추이를 살펴봤을 때 블로그, 카페, 뉴스, 트위터, 유튜브, 정부/공공 6개 채널에서는 2021년보다 2022년 정보량이 늘어났으며 인스타그램, 기업/단체, 커뮤니티, 지식인,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6개 채널에서는 2021년에 비해 2022년 채널 정보량이 줄어들었다.

전체적으로 블로그, 카페 등을 통한 두산위브의 관심도가 높았으나 트위터, 유튜브 등 SNS 채널 정보량이 증가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접근성이 수월하고 시청각적 효과가 탁월한 유튜브 정보량은 2년에 걸쳐 3배 가까이 늘어난 점은 긍정적이다.

[아파트 브랜드 기획⑤] 두산위브, 지난해 관심도·호감도 모두 상승...“주부 마케팅 필요”
2022년 두산위브와 관련된 포스팅 작성자의 프로필을 조사한 결과, 여성 작성자의 비율이 65.93%를 차지하며 남성 작성자의 비율보다 31.85% 높게 나타났다.

성별 관심도는 자신의 프로필을 드러낼 수 있는 7개 채널에서 포스팅 작성자의 성별이 드러난 정보량만을 대상으로 하며, 여성 관심도는 성별 프로필이 드러난 전체 정보량 대비 자신이 여성임을 밝힌 유저의 포스팅 수의 비율을 집계한 것이다.

두산위브는 작성자의 성별이 드러난 4,854건의 정보량 중 여성 작성자로 드러난 포스팅 비율이 65.93%를 차지하는 한편, 남성 작성자의 포스팅 비율은 34.07%로 분석됐다.

이는 같은 기간 대한민국 전체 포스팅 중 연령이 드러난 게시물 중 여성이 올린 글이 2,832만 7,637건, 75.5%로 남성이 올린 글 920만 2,258건, 24.5%에 비해 3배나 높다는 것을 감안하면 남성 관심도는 그래프에 드러난 수치보다는 크게 높을 것으로 짐작된다.

지난해 10월 네이버 카페 ‘줌마렐라’의 한 여성 유저는 “(창원) 명서동 두산위브 인근 공부방”이라는 제목과 함께 “7세 보낼 공부방 어디 좋은데 아시면 추천부탁드려요!​--”라는 내용의 글을 남겼다.

지난해 12월 TISTORY의 한 남성 유저는 “성북구 월곡동 월곡두산위브 25평형 59제곱 10년간 실거래가격!”이라는 포스팅을 올리며 서울 성북구 월곡두산위브 아파트 정보와 분석 내용을 설명했다. 이 유저는 포스팅에서 “국토부의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중개업소에서 거래된 물건만을 뽑아 작성 하고 있다”며 “부동산 가격의 정상화를 바라는 일반인으로 너무 비싼 집값으로 저는 물론 많은 서민들이 고통받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포스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파트 브랜드 기획⑤] 두산위브, 지난해 관심도·호감도 모두 상승...“주부 마케팅 필요”
두산위브와 관련해 2022년 10대부터 50대까지 연령별로 드러난 포스팅 작성자를 집계한 결과, 20대의 관심도 비중은 60%를 돌파하며 과반 넘겼다.

연령대별 관심도는 자신의 연령을 표기하거나 연령을 나타낼 수 있는 채널인 블로그, 카페,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유튜브 등 7곳에서 게시자의 연령이 드러난 정보량만을 대상으로 하며, 연령이 드러나지 않은 포스팅은 집계되지 않는다.

두산위브는 907건의 연령별 정보량 가운데 20대 작성자로 드러난 포스팅 수의 비율이 60.97%를 차지했다.

이외 △10대 17.64% △30대 12.79% △40대 6.95% △50대 1.65% 순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대한민국 전체 포스팅 중 연령이 드러난 게시물이 2,066만 9,123건인데 이중 20대가 작성한 것이 1,021만 6,538건으로 전체 49.4%인 점을 감안하면 두산위브에 대한 20대의 관심도는 평균보다 11.6%P 높았다.

구매력이 높은 40대의 관심도도 평균보다 두배이상 높았지만, 10대와 50대는 전체 평균에 비해 각각 22.1%P, 0.2%P 낮았다.

지난 8월 네이버블로그의 ‘doan***’라는 20대 직장인 유저는 “입주 직전의 분양권 매물을 노리자”는 포스팅을 게재했다. 이 포스팅에서 인천 부평 두산위브 24평 호가 현황을 언급하며 “인근의 280가구 규모 17년 차 아파트 24평형의 최근 실거래가가 4.5억 원이고 매물도 4.5~4.8억 원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충분히 안전마진이 있다고 본다”라고 평가했다.

[아파트 브랜드 기획⑤] 두산위브, 지난해 관심도·호감도 모두 상승...“주부 마케팅 필요”
2022년 두산위브와 관련된 포스팅 유저의 직업도 분석한 결과, 직장인 관심도가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 관심도는 포스팅 작성자의 직업이 드러난 정보량만을 대상으로 하며, 직업이 드러나지 않은 포스팅은 집계되지 않는다.

분석 결과 작성자의 직업이 드러난 6,251건의 정보량 중 직장인 포스팅 수의 비율이 50.63%를 차지했다.

이어 ▲사업가 23.68% ▲방송/예술직 10.61%% ▲주부 2.88% ▲중/고등학생 2.53%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8월 유튜브 채널 ‘크로의 재테크이야기’에는 “임장-01) 원주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 임장후기”라는 제목의 영상이 업로드됐다. 이 유튜버는 직장인 MZ세대 투자자로 매주 자기계발, 임장을 한다면서 영상을 통해 원주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 임장 후기를 자세히 소개했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두산위브의 경우 지난해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관심도와 호감도는 되레 높아져 미래 비전에서 '청신호'가 켜졌다"면서 "다만 주부를 중심으로 한 여성층의 관심도가 낮은 편인 것으로 나타나, 이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강지용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