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업계 기획①] LF 최근 5년간 소비자 관심도 꾸준히 상승…순호감도 70%↑

한시은 기자

2023-03-22 07:36:34

대학·대학원생 포스팅 비율 66%…경기 침체기 불구 미래 비전 '청신호'

자료 = 데이터앤리서치 / 이하 동일
자료 = 데이터앤리서치 / 이하 동일
[빅데이터뉴스 한시은 기자] 빅데이터뉴스는 여론조사기관인 데이터앤리서치에 의뢰해 주요 섬유·패션업체들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 시리즈를 연재합니다.
지금까지 빅데이터 분석 자료는 포스팅 수와 포스팅의 호감도만을 대상으로 주로 분석하거나 사회공헌, ESG경영 등에 관해 업체간 비교 분석을 주로 실시했지만 이번 패션업계 빅데이터 분석 시리즈에서는 각 사별 최근 5년간 포스팅수(정보량=소비자관심도)와 2022년 호감도 및 해당 섬유·패션사 포스팅 유저들의 성(性)별, 직업 등의 프로필을 분석합니다.
분석대상 업체는 영원무역홀딩스 효성티앤씨, 휠라홀딩스, F&F홀딩스, LF, 한섬, 신세계인터내셔날, BYC 등이지만 검색 결과에 따라 변동될수는 있습니다.
첫 회에는 임의선정한 LF를 대상으로 분석했습니다.<편집자 주>

최근 5년간 LF에 대해 연도별 정보량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 2022년 관심도가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본지 의뢰로 LF에 대해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 등 12개 채널, 23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온라인 포스팅 수(정보량=관심도)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LF의 경우 가비지가 많은 만큼 검색시 LF + 의류 브랜드들 키워드간 한글 기준 15자 이내만 결과값으로 도출했기 때문에 실제 정보량은 달라질 수도 있다.

분석 결과 2018년부터 2022년 최근 5년간 LF 관련 포스팅 수는 총 17만9,382건이었다.

지난 2022년에 가장 많은 3만9,464건을 기록했으며, 2018년에 가장 적은 2만8,647건을 보였다.

경기 여부와 상관없이 꾸준하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다.

자료 = 데이터앤리서치
자료 = 데이터앤리서치
LF는 지난 한해 총 3만9,464건의 정보량 중 긍정 포스팅 수는 2만9,752건으로 75.39%의 긍정률을 기록했으며 부정 포스팅 수는 999건으로 부정률은 2.53%에 그쳤다.

나머지 포스팅은 긍정도 부정도 아닌, 중립으로 간주되는 포스팅이다.

긍정률에서 부정률을 제외한 값인 순호감도는 72.86%인 것으로 분석됐다. 순호감도가 70%를 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는 것을 감안하면 소비자들은 LF의 의류 브랜드 들에 대해 매우 높은 선호도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네이버카페에선 "상단에 있는 챔피온, 헤지스골프, 라푸마 제품들이 진짜 가성비가 좋다"며 "특히 챔피온 플러스 집업은 이쁘고 편하게 입기 좋다"는 내용의 글이 게재돼 눈길을 끌었다.

지난해 12월 또 다른 블로거는 깔끔하게 입을만한 코트를 구입하고자 고민하며 LF몰 홈페이지에 들어갔다는 글을 작성했다. 해당 블로거는 "LF몰 웰컴딜로 첫 구매 할인 혜택에 LF페이까지 자동등록을 완료해두면 1만 5,000포인트를 받을 수 있고 5만원 이상 결제시 5만원 캐시백이 가능해 놓칠 수 없는 혜택"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카드 상시할인까지 챙기면 최저가 메리트가 충분하다"고 전했다.

같은 달 다른 블로거는 LF스퀘어에 방문한 김에 코닥에 들러서 맘에 드는 플리스 자켓과 조끼를 구입하고 왔다는 고객의 글이 올라왔다. 유저는 "코닥 겨울 아이템들은 포근하고 따뜻한 느낌이 든다"며 "예뻐서 찜 해둔 플리스 자켓과 베스트가 세일 중이라 가격도 착하다"고 좋아했다.

LF 의류 브랜드에 대한 직접적이면서도 부정적인 글은 극히 찾아보기 어려웠다.

지난해 11월 티스토리엔 LF몰에 들린 고객이 본식 예복을 구매하기 위해 닥스에서 옷을 입어봤다는 글이 올라왔는데 작성자는 "닥스 옷에서 고급스러움이 티가 나고 자켓의 사이즈가 몸의 부위별로 다양하게 나와 비교해볼 수 있어서 좋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라펠이 아쉽고 바지가 상당히 맞지 않았으며, 매장에서 입어보니 불편했고 원단 때문에 가격이 상당했다"는 후기도 함께 남겼다.

[패션업계 기획①] LF 최근 5년간 소비자 관심도 꾸준히 상승…순호감도 70%↑
온라인 글 들중 유저가 자신의 프로필을 드러낼 수 있는 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블로그 등 7개 채널에서 지난 2022년 여성과 남성의 관심도를 분석했다.

우선 자신을 남성 또는 여성이라고 밝힌 글에서 성별 비중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99건, 여성이 416건을 올렸다.

LF의 경우 남성(19.22%)보단 여성(80.78%)의 관심도가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향후 LF엔 남성 시장도 추가로 열려있다는 풀이도 가능하다.

[패션업계 기획①] LF 최근 5년간 소비자 관심도 꾸준히 상승…순호감도 70%↑
자신의 직업군을 밝힌 사람들 중 LF 관심도 상위 5개 직업군을 살펴본 결과, 대학·대학원생이 66.72%로 1위를 기록했으며, 직장인이 12.30%로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사업가가 5.74%로 3위, 무직이 4.92%로 4위, 방송·예술직 4.26%로 5위를 차지했다.

젊은 층의 선호도가 높은 것은 향후 LF의 비전이 밝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구매력이 높은 직장인과 사업가 등의 포스팅이 적으므로 향후 직장인 등을 대상으로 한 타깃 마케팅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시은 빅데이터뉴스 기자 bdhse@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