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페이의 결제 MCP는 AI 에이전트와 결제 API를 안전하게 연동하기 위한 기술이다. 카카오페이 결제 시스템은 단순한 API 호출이 아닌 매일 수백만 건의 거래를 처리하는 핵심 인프라다. 이에 카카오페이는 보안, 안정성 등 결제 시스템이 갖춰야 할 복잡한 요구사항을 고려해 MCP를 선택했다. MCP는 AI 모델과 외부 도구 간의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로, AI가 외부 시스템의 기능을 안전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카카오페이는 멀티 프레임워크를 지원하는 에이전트 툴킷을 개발하여, 개발자들이 AI 챗봇과 자연어로 소통하며 손쉽게 결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대폭 높였다.
‘툴(Tool)’은 MCP에서 AI가 호출할 수 있는 개별 기능을 의미한다. 카카오페이 에이전트 툴킷은 결제 테스트, 결제 준비, 승인, 취소, 상태 조회 등 기본적인 결제 기능을 포함해 총 7가지 핵심 결제 API를 툴 형태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AI 에이전트는 결제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결제 상태를 조회하거나, “5천 원짜리 커피 결제 링크 생성해 줘”와 같은 자연어 명령만으로도 결제 링크를 생성하는 등 다양한 결제 관련 시나리오를 처리할 수 있다. 복잡한 프로세스 없이 AI에 결제 기능을 연동할 수 있어 개발자의 부담을 줄이고, 사용자는 더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결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이번 기술은 AI 에이전트-MCP-카카오페이 오픈 API로 이어지는 구성으로 설계되었다. 특히 랭체인(LangChain), 버셀 AI SDK(Vercel AI SDK), 오픈 AI SDK(OpenAI SDK) 등 다양한 AI 프레임워크를 지원하여 개발자들이 각자의 개발 환경에 맞춰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 편의성을 높였다.
카카오페이는 “이번에 공개한 MCP 및 에이전트 툴킷은 결제 AI 시대를 준비하는 첫 걸음”이라며, “앞으로도 기술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신뢰를 최우선으로 하며, AI 시대의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에 공개된 기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카카오페이 기술 블로그 및 개발자 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임이랑 빅데이터뉴스 기자 lim625@thebigdata.co.kr, iyr625@naver.com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