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7개 기관과 함께 CCUS 사업 가속화 위한 국제공동연구 착수

김수아 기자

2022-11-21 17:28:38

현대건설, 7개 기관과 함께 CCUS 사업 가속화 위한 국제공동연구 착수
[빅데이터뉴스 김수아 기자] 현대건설이 21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탄소 관련 기술 및 해외저장소 확보 프로젝트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하고 총 28개월간 7개 민·관·학 기관과 함께 연구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국책과제명은 ‘CCUS 상용기술 고도화 및 해외저장소 확보를 위한 국제공동연구’로, 탄소중립 실현에 필수적인 CCUS 관련 기술역량을 강화하고 이미 고갈된 동남아시아의 유전 및 가스전 중 국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후보지 선정을 목표로 한다.

현대건설과 한국석유공사, 현대중공업, SK이노베이션, 골든엔지니어링, 동아대학교, UTP(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산하 대학) 등 7개 민·관·학 컨소시엄이 연구에 공동 참여하며 수요기업은 한국조선해양이다.

이번 컨소시엄은 말레이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 ‘페트로나스’가 보유한 16개 고갈 유·가스전의 안전성 및 저장용량 평가, 경제성 분석 등을 통해 CO2 저장소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한다. 글로벌 탄소 포집·저장 시장 개방에 앞서 유망 후보지를 확보하여 CO2 해외저장소를 선점하고, 국내에서 포집한 CO2를 수송·저장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함이다.

이 과정에서 사업지 선정 기준·수송망 설계·해상 주입시설 기술 요구조건 등 사업의 표준모델을 수립하여 향후 해외 탄소 포집·저장 사업에 실제 적용할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구축한 글로벌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국가 탄소 포집·저장 추진 정책에 반영 가능한 제언을 이끌어낼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국내 CO2 포집부터 수송망 및 수/출입 허브터미널, 주입시설 설계까지 탄소 포집·저장 전 주기에 걸친 사업모델 개발과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담당한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해외 탄소 포집·저장 사업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