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면 소비자들은 LF를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21일 본지는 뉴스·커뮤니티·카페·유튜브·블로그·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2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2022년 1월1일부터 3월17일까지 6개 패션 의류 기업의 온라인 정보량을 빅데이터 분석했다.
본지가 증권 '섬유,의류,신발,호화품' 업종을 참고해 임의 선정 한 조사 대상 6개 기업은 정보량 순으로 ▲한섬(대표 김민덕) ▲LF(대표 오규식) ▲신세계인터내셔날 (대표 장재영, 이길한, 손문국) ▲F&F(대표 김창수) ▲한세실업(대표 김익환, 조희선) ▲영원무역 (대표 성기학) 등이다.
참고로 '한섬', 'LF'와 'F&F' 등 가비지가 섞일 우려가 있는 기업명이 있어 기업명과 '패션 의류 키워드'(패션, 의류, 섬유, 캐주얼, 아울렛, 명품, 쇼핑)를 포함해 조사를 실시했기 때문에 실제 정보량은 이보다 늘어날수 있다.
'한섬'은 지난 2021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2위는 1만9665건을 기록한 'LF'였다.
이어 '신세계인터내셔날' 6819건, 'F&F' 4630건, '한세실업' 3640건 순이었다.
'영원무역'은 3573건으로 6개 패션 의류 기업 중에서는 가장 적었다.

집계 결과 긍정률에서 부정률을 뺀 값인 순호감도의 경우 관심도 2위인 'LF'가 77.87%로 압도적 1위에 올랐다.
순호감도 2위는 관심도 1위였던 '한섬'으로 57.47%였다.
이어 '신세계인터내셔날' 55.61%, 'F&F' 49.74%, '영원무역' 43.35% 순이었다.
'한세실업'이 순호감도 38.90%로 6개 패션 의류 기업 중에서는 가장 낮았으나 5위와 큰 차이는 아니었다.
참고로 포스팅 글에 '예쁘다 좋다 만족한다 최고 웃다 잘한다' 등의 단어들이 더 많으면 긍정글로 분류되고 '나쁘다 화난다 불만족 울다 짜증 못한다' 등의 단어가 더 많으면 부정글로 분류되는데 포스팅에 긍정어나 부정어가 포함돼있더라도 그 감성어가 해당 패션 의류 기업을 반드시 겨냥하거나 지칭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으므로 트렌드 참고자료로 감안하면 된다.
심준보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