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분기 영업수익은 전 분기 대비 55억 원 (↑2.1%) 증가, 전년 동기 대비 106억 원(↓3.8%)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13억 원(↓14.1%) 줄었으나 전년 동기와 비교해 53억 원(↑205.3%) 늘어났다. 연간으로는 영업수익이 543억 원(↓4.9%)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50억 원(↑16.8%)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HOME수익이 1,723억 원 (케이블TV 1,408억 원, 인터넷 268억 원, 인터넷전화 47억 원)으로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이었고, MVNO 수익은 424억 원 (서비스수익 381억 원, 단말기수익 43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1억 원(↓0.3%) 감소했다. 기타수익은 525억 원을 나타내며 전 분기 대비 54억 원(↑11.6%) 증가했다.
4분기 당기순이익은 영업권 손상으로 인해 적자 전환한 -3,287억원이며, 연간으로는 -3,128억 원을 기록했다. 과거 개별 SO 인수 시 계상된 영업권에 코로나로 인한 리스크 증가 등 시장상황으로 손상이 발생했다. 영업권 손상은 현금지출이 없는 장부상 감액으로 향후 영업이익과 현금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안재용 LG헬로비전 상무(CFO)는 “작년은 조직 안정화와 더불어 본업인 방송∙통신사업에서 ‘LG유플러스 시너지’를 통한 경쟁력 회복에 집중한 해였다”라며, “2021년은 방송∙통신 및 MVNO사업에서 유의미한 질적∙양적 성장을 달성하고, 렌털사업 등을 지속 육성해 가치를 증대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심준보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