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사는 이 MOU를 통해 국내 방송광고 경쟁력강화를 위해 어드레서블 TV 광고상품 개발, 시청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 홍보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키로 했다.
“어드레서블 TV 광고”는 시청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관심사에 따른 타겟팅이 가능한 광고 기법이다. 같은 시간대에 MBC를 시청하더라도 빅데이터를 통한 관심사 분석에 따라 가구별로 다른 광고에 노출될 수 있다. 미국, 유럽 등에서도 전통적인 TV 광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광고 전달 방식이다.
전국으로 단일 광고를 송출하는 TV 광고는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점(도달율)에서 큰 경쟁력이 있었지만, 타겟팅 측면에서는 약점이 있었다. 어드레서블 TV 광고가 적용되면, 지상파 TV는 기존 강점이던 도달율에 약점인 타겟팅을 보완하여 더 많은 타겟 시청자들에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관심사에 기반한 광고 송출에 따라 광고를 회피하는 “재핑(Zapping)” 현상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어드레서블 TV 광고는 광고주가 원하는 타겟에 대해 원하는 예산만큼 방송되므로, 예산이 넉넉지 않은 광고주 또한 TV광고를 할 수 있게 된다.
방송사와 공공기관, 플랫폼 사업자들이 동시에 협력하는 사례는 드물었다. 어드레서블 TV 광고 시범 사업이 성공적 안착은, 방송 시장에 급속히 확산되어 국내 미디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최창국 LG유플러스 Consumer사업그룹장 상무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MBC, KOBACO, IPTV3사가 손잡게 된 것은 어드레서블 TV광고의 정착과 확산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KT는 TV방송광고 시장의 효과를 높일 있는 다양한 기법을 개발하고 국내 미디어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심준보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