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에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브랜드를 위해 이용 수수료를 면제한 결과 한 달간 신규 판매자 수가 719% 증가했다.
상하이 소재 화장품 기업 린 칭수안(Lin Qingxuan)은 미디어 커머스 전략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다.
올해 춘절 기간 오프라인 매장을 절반가량 폐쇄해 매출이 90% 감소했으나 라이브 방송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0% 매출 성장을 이뤘다.
타오바오는 중국 내 타오바오 라이브 방송 시청 시간이 하루 35만 시간에 이른다고 밝혔다.
요리 과정을 시연하는 셰프, 아파트 내부를 보여주는 부동산 중개업자, 집에서 공연을 펼치는 연예인 등 라이브 방송을 활용하는 판매자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현재 플랫폼 상 최고령 판매자는 109세다.
타오바오 라이브는 중국 각 지방에서 재배되는 농산물 유통 채널로도 주목받고 있다.
작년 한 해 농산물을 홍보하는 콘텐츠가 약 160만 회 방송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올해 2월에는 농산물 생산업자들을 위한 라이브 방송 무료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해 론칭 후 3일 내 1500만 kg의 농산물을 판매하는 기록을 세웠다.
타오바오 라이브는 정부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각 지역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펑 유(Feng Yu) 타오바오 전자상거래 콘텐츠 시니어 디렉터는 “코로나19로 인해 위기 상황에도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다시 한번 주목 받았다.
라이브 방송을 비롯한 미디어 커머스는 전자상거래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타오바오 라이브 등 미디어 커머스 전략을 통해 브랜드 판매 채널 다양화와 매출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심준보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