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폐쇄성폐질환은 흡연(간접흡연 포함)이 가장 주요한 발병 원인이다. 최근 5년간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진료현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5년 기준 진료인원수는 23만 2천명으로 2011년 25만9천명 대비 10.7%(2만 7천명) 감소했다. 진료비는 1천737억원으로 2011년 1천473억원 대비 17.9%(263억원) 증가했다. 지난 2015년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74만8천원으로 2011년 56만6천원 대비 32.0%(18만1천원) 증가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월별 진료인원수 데이터를 분석하면, 최근 3년 간 공통적으로 봄철(3~4월)에 환자 수가 가장 많았다. 여름철(6~9월)에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지난 3년간 평균 월별 진료인원을 분석하면, 3월에 6만3천명으로 진료인원이 가장 많았고 4월에 6만1천명 순이었다. 3월의 평균 진료인원은 가장 낮은 8월은 5만1천명 대비 23.1%(1만 1천963명) 많았다.

지난 2015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만성폐쇄성폐질환’ 진료인원수 데이터를 분석하면, 60대 이상 고연령대에서 전체 진료인원의 80.2%(18만 6천 명)을 차지했다. 연령대별로는 70대가 전체 35.0%(8만 1천명)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60대 25.0%(5만 8천명), 80세 이상 20.2%(4만 6천명) 순이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최근 5년간 10.7%(2만 7천명) 감소했지만, 70대에서는 7.1%(6천200명) 감소해 평균치에 밑돌았다. 반면, 80세 이상 연령대에서 17.2%(6천900명)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창훈 교수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노령이 위험인자로 나이가 많을수록 흡연기간이 길어 60대 이상 노인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며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진행성 질환이므로 나이가 많을수록 질환이 심해져 고연령대에서 진료를 많이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5년 ‘만성폐쇄성폐질환’ 진료비 총액 데이터를 분석하면, 전체 진료비 1천737억원 중 입원 진료비는 878억원으로 50.5%를 차지했다. 외래 진료비(약국 포함)는 49.5%(859억 원)이었다.

특히, 입원환자의 연평균 입원일수는 2015년 기준 27.2일로 2011년 23.5일 대비 15.9%(3.7일) 증가했다. 연평균 진료비는 2015년 348만원으로 2011년 294만원 대비 18.2%(54만 원) 증가했다.
정백희 기자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