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분석해 '젠트리피케이션' 막는다

2016-05-16 09:30:00

빅데이터 분석해 '젠트리피케이션' 막는다
서울시가 최근 10년간 빅데이터를 활용해 서울 전역의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지역을 예측하고 미리 대응한다.
젠트리피케이션은 낙후한 구도심이 다시 번성해 사람이 몰리면서 임대료가 오르고 원주민들이 밀려나는 현상을 뜻한다.
시는 이달 중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연내 정책지도 개발을 마칠 예정이다.
시는 지난달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유형과 지역 특성에 따라 5가지로 구분하고, 젠트리피케이션 대책을 4개 그룹으로 분류해 각 구청이 사안별로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기본지침을 먼저 배포했다.
빅데이터 분석해 '젠트리피케이션' 막는다
▲ 서울시가 마련한 젠트리피케이션 대책의 유형 분류. /자료제공=서울시
정책지도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포함한 서울 전역의 인구이동, 부동산 거래 등 다양한 빅데이터를 담아 만들 예정으로 기본지침과 함께 활용할 수 있다.
시는 또 도시재생활성화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업무지침과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논의할 전문가 그룹은 건축사, 법조인 등 다양한 분야 실무진으로 구성된다.
시는 앞서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방안을 매뉴얼 형식으로 정리한'도시재생활성화지역별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기본지침'을 마련했다. 젠트리피케이션을 방지할 대책으로 △소통 및 공감대 형성 △시장동향 및 대응체계 구축 △적정임대료 및 영업기간 보장 △규제를 통한 속도조절 유도 등이 제시됐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12일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상생·협력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침체된 도시에 활력을 주고 함께 잘 사는 지역문화 토대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