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최근 10년간 빅데이터를 활용해 서울 전역의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지역을 예측하고 미리 대응한다.
젠트리피케이션은 낙후한 구도심이 다시 번성해 사람이 몰리면서 임대료가 오르고 원주민들이 밀려나는 현상을 뜻한다.
시는 이달 중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연내 정책지도 개발을 마칠 예정이다.
시는 지난달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유형과 지역 특성에 따라 5가지로 구분하고, 젠트리피케이션 대책을 4개 그룹으로 분류해 각 구청이 사안별로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기본지침을 먼저 배포했다.

정책지도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포함한 서울 전역의 인구이동, 부동산 거래 등 다양한 빅데이터를 담아 만들 예정으로 기본지침과 함께 활용할 수 있다.
시는 또 도시재생활성화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업무지침과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논의할 전문가 그룹은 건축사, 법조인 등 다양한 분야 실무진으로 구성된다.
시는 앞서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방안을 매뉴얼 형식으로 정리한'도시재생활성화지역별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기본지침'을 마련했다. 젠트리피케이션을 방지할 대책으로 △소통 및 공감대 형성 △시장동향 및 대응체계 구축 △적정임대료 및 영업기간 보장 △규제를 통한 속도조절 유도 등이 제시됐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