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평원’)은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민간 이용 활성화 및 지역 의료기관·학계·산업계와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4일 부터 7개 지원 내 보건의료빅데이터센터 운영에 들어간다. 7개 지원은 서울·부산·대구·광주·대전·의정부·전주에 위치해 있다.
심평원은 2014년 4월 본원에 보건의료빅데이터센터를 개소한 이래 대용량의 데이터를 분석·처리할 수 있는 IT 인프라를 갖추고, 전 국민 진료내역· 의약품·의료자원·의료 질 평가 정보 등 3,264억건에 달하는 고품질의 방대한 보건의료빅데이터를 민간에 제공하고 있다.
보건의료빅데이터DB는 심사평가원 공공데이터 개방을 위한 대용량DB로 ▲진료정보 ▲의약품종합정보 ▲치료재료정보 ▲의료자원정보 ▲진료심사기준정보 등 7종의 원천데이터를 의료연구지원, 산업활성화․창업지원, 대국민 공공데이터 개방서비스 등에 활용되는 원천DB이다.

2015년 12월 심평원 본원이 강원도 원주로 이전함에 따라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7개 지원에 보건의료빅데이터센터를 운영하게 됐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맞춤형 자료 제공, 지역 전문가와의 발전적 협업과제 수행 등 지역 보건의료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보건의료빅데이터센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요서류를 제출한 후 이용 가능한 날짜를 안내받은 뒤 가까운 지역 보건의료빅데이터센터에서 분석공간 및 접속계정을 배정받아 사용하면 된다.
이어 의료기관, 학계 종사자들의 연구과제 수행 지원을 위하여 센터 방문 없이도 원격(150개 계정)으로 지정PC를 통해 중앙시스템에 접속하여 분석할 수 있는 환경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참고로 심평원 개방포털인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은 △환자데이터셋 등과 Open API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데이터』, △산업체· 학계 관계자들에게 분석데이터셋을 제공하는 『의료빅데이터』, △진료정보·의약품 등 약 200여개 카테고리별 각종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의료통계정보』메뉴가 있으며, 사용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시각화 및 통계분석 기능 등을 서비스하고 있다.


한편, 심평원은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대한 안내와 함께 대표적인 민간기업 활용 3사례가 소개했다.
하이닥’ 모바일 앱/웹은 병원정보와 병원검색기능 및 건강기록관리가 가능한 앱으로 나와 같은 증상의 치료 후기와 건강 뉴스 구독 서비스 제공한다. ’굿닥‘ 모바일 앱 위치기반 병원정보검색 뿐만 아니라 상황별 병원찾기와 주변 약국찾기 기능과 병원이벤트, 전문가 상담 등을 서비스하는 앱이다. 스마트닥터’소프트웨어&‘병원찾기’모바일 앱/웹은 의료 소프트웨어로 의료기관이 진료관리와 고객관리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한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