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인터넷은행의 사업모델 분석(2) - 케이뱅크의 강점은 빅데이터 활용한 휴대폰번호/이메일 기반 간편 송금
외부평가위원회는 한국카카오은행에 예비인가를 권고하면서 카카오톡 기반 사업계획의 혁신성이 인정될 뿐만 아니라 사업 초기 고객기반 구축이 용이한 것으로 평가되는 등 안정적으로 사업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고 밝혔다.
한국카카오 은행은 고객과 가맹점을 직접 연결하여 거래비용(VAN/PG/카드 less) 절감, 차별화된 신용평가시스템(금융권 데이터+온라인 상거래‧결제 데이터+SNS 활동내역)을 통한 중금리대출, 카카오톡 기반 간편송금 및 자산관리서비스 등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케이뱅크 은행도 예비인가를 권고했다. 참여주주 역량을 최대한 활용하여 다수의 고객접점 채널을 마련하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케이뱅크는 통신‧결제‧유통 정보 등 빅데이터 기반 중금리대출, 간편지급결제(Express Pay) 및 휴대폰번호/이메일 기반 간편 송금, Robo-advisor 기반의 자산관리 서비스 등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래는 케이뱅크가 금융위원회에 제출한 인터넷은행 사업계획서의 요약 내용이다.
◇ 언제 어디서나(Connected), 개인화된(Customized), 편리한 뱅킹서비스 (Convenient) 를 이용할 수 있도록 4개 영역, 16개의 혁신 사업모델 제시

< 주요 사업내용 >
① 채널 혁신 : 다양한 외부접점과 유기적으로 연결된 열린 플랫폼 지향
[Open API뱅킹] : 일상 어디서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Anywhere Real-life Banking 구현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 스타트업 성장 후원 및 공익적 사업으로의 확대를 통한 사회적 기여

[원스톱 SOHO 금융 플랫폼] : 자영업자의 시작과 성공을 함께하는 동반성장 원스톱 금융 플랫폼 제공

[Enhanced Credit Scoring(중금리)] : 서민 근로자 대상 합리적 대출상품 제공

[니즈기반 적시 금융상품 오퍼링] : 고객 니즈에 맞춘 금융상품 적시 추천

[Simple 뱅킹] : 계좌번호 없이 휴대폰번호/이메일 기반 간편 송금(자금 이체)

[디지털 이자 예금] : 시중은행 대비 높은 금리와 생활편의 결합형 디지털 이자 예금 제공


④ 프로세스 혁신 : 기존의 금융서비스 프로세스를 재구성함으로써 고객의 편의성 향상
[Robo-advisor] : Robo-advisor 기반으로 상품을 추천․관리하는 자사관리서비스 제공

[편의점 뱅킹] : GS25 편의점 채널을 활용하여 K뱅크 오프라인의 금융서비스 제공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