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정부가 앞장서 지원한다
통합센터는 빅데이터 기반의 합리적 정책 결정체계 구축, 국가 미래전략 수립지원 및 맞춤형 행정서비스 지원 등 중장기 추진계획 수립을 통해 국민 행복시대를 앞당길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3개(대전·광주·대구) 센터 및 기상청·국토부 등 범정부 공통 플랫폼 연계 공유·활용체계 구축 ▲체계적인 빅데이터 수집체계 확대 ▲사용자 중심의 빅데이터 플랫폼 고도화 및 국민 생활과 밀접한 미래 예측 선도과제 발굴·수행 등이다.
이를 위해 통합센터는 지난 5월 빅데이터분석과를 신설하고 공통기반 플랫폼을 활용한 유능한 정부구현에 앞장서고 있다.
올해 들어 범정부 빅데이터 실시간 처리·분석을 위한 공통기반 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고, 범정부 데이터 지도 구축 및 빅데이터 사용자 분석과 결과 조회 기능 강화 등 환경을 마련했다.
또한, 빅데이터 표준 분석모델(민원분석 등) 정립 및 확산, 빅데이터 사용자(중앙부처, 지자체 공무원) 중심의 데이터 분석-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및 향후 주요 이슈분야(저출산 등) 미래예측 분석 환경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 미래예측분석 : 이슈분야 데이터 선정, 시나리오 기반의 가상 정책 실험환경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정책 결정에 지원
아울러, 국내·외 빅데이터 관련 연구소, 대학, 빅데이터 구축 행정기관(국토부, 기상청 등)과 기술교류 및 분석 활용사례 공유, 광주센터(’16년)·대구 센터(’18년) 빅데이터 연계체계 구축 및 공공 빅데이터 고급 분석 인력 양성을 통해 과학적, 선제적 정책수립을 지원할 예정이다.
김우한 정부통합전산센터장은 “빅데이터 공통기반의 비전과 목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행정구현 및 유능한 전자정부 구현에 있다.” 라며 “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통합센터는 공공정보, 민간데이터의 융합분석 역량을 강화하여 국가와 사회 현안의 합리적 국가정책 수립·집행 지원을 통한 국가예산의 효율적인 집행 및 국민들의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하고 전문인력 양성,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 등 유능한 전자정부 구현을 선도하여 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