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략산업 육성·생태계 조성

KB금융은 지난 9월 출범한 ‘KB금융그룹 생산적금융 협의회’를 중심으로 세부 추진 계획을 준비했다. 총 110조원 규모 중 생산적 금융으로 93조원, 포용금융으로 17조원을 2030년까지 지원한다.
◆ 공급규모·계획
생산적금융 93조원은 투자금융 25조원과 전략산업융자(기업대출) 68조원으로 공급하며, 투자금융 부문은 △국민성장펀드 10조원 △그룹 자체투자 15조원 △전략산업융자 5년간 68조원 규모로 첨단전략산업·유망성장기업 등에 자금을 공급한다.
KB금융은 국내 선도지위를 가진 투자금융 경쟁력을 바탕으로 MegaDeal 발굴·선제적 금융지원을 통해 국민성장펀드 조기 성과창출·안착을 지원한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5극 3특 전략’에 부합하는 지역 성장 프로젝트 발굴을 추진한다. 권역별 산업과 연계되는 인프라, 신재생에너지, 데이터·AI센터, 물류·항만 등 지역 맞춤형 전략산업과 SOC 복합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5극 3특 전략은 수도권 1극 체제를 극복하고자 전국을 5대 초광역권(수도권, 동남권, 대경권, 중부권, 호남권)과 3대 특별자치도(제주, 강원, 전북)로 재편해 국가 균형발전과 지역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국가 성장 전략이다.
포용금융 17조원은 서민 취약계층과 소상공인 자영업자 성장과 재기지원, 자산형성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금융지원과 채무지원 프로그램 등으로 추진된다.
◆ 그룹 운영체계 개선
KB금융은 지난 9월 신설된 ‘그룹 생산적금융 협의회(계열사 사장단 포함 경영진 21명 참여)’ 운영을 통해 추진방향을 비롯한 세부실행방안을 논의하고 실적을 점검하고 있으며, 계열사별로 전담조직 신설을 통해 생산적 금융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 정책 동참을 위해 KB금융은 기업 여신 정책·영업방식 등을 국가 산업육성 관점에서 대출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 생산적금융 주요 추진성과·계획
최근 금융위 주관 생산적 금융 소통 점검회의를 통해 KB금융은 총 사업규모 3.3조원 규모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금융주선(KB국민은행·산업은행) 내용을 실행계획으로 발표했다
KB증권은 증권사 최초로 정부 상생결제대출 시장에 참여하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KB금융 관계자는 “금융이 경제 성장을 선도하는 본질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 주도 생산적 금융 지원에 동참하겠다”며, “소상공인·서민·취약계층 성장·재기 지원에도 국민과 성장할 수 있도록 포용금융 지원도 지속하겠다”고 설명했다.
서희림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