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공시된 SK스퀘어 분기보고서와 IR자료에 따르면 11번가는 올해 1~3분기 누적 영업손실을 전년 동기 대비 약 45%(237억원) 개선하고, 10개 분기 연속 전년 동기 대비 손실을 축소하는데 성공했다.
11번가 3분기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 대비 약 40% 개선한 88억원이며, 매출은 약 14% 감소한 1047억원을 기록했다.
11번가는 ‘마트’를 비롯한 수익성 높은 상품군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등 실적 개선 노력을 통해, 오픈마켓 부문에서 20개월 연속(지난해 3월~올해 10월) 영업이익 흑자를 만들어냈다.
11번가가 지난 5월 오픈한 통합 장보기 전문관 ‘마트플러스’는 지난달까지 누적 구매고객 수가 230만명(중복 포함)에 달했으며, 판매된 상품 수도 670만개를 넘어섰다.
‘디지털십일절’, ‘원데이빅딜’, ‘E쿠폰 메가 데이’ 등 올해 신설한 프로모션도 고객 방문을 이끌었다. 11번가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업계 2위를 공고히 유지하고 있다.
MAU는 앱 통계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 기준이다.
11번가는 판매자 전용 모바일 앱 론칭(6월)에 이어 판매자 간편가입 프로세스를 도입(7월)하며 입점 판매자 편의성을 강화했으며, 최근 3달간(8월~10월) 신규 가입 판매자 수도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11번가는 쇼핑 축제인 ‘2025 그랜드십일절(11.1~11)’에 이어 ‘블랙프라이데이’ 등 연말까지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해 실적 개선 성과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총 2400만명 이상 고객이 방문한 2025 그랜드십일절은 디지털·가전, 마트 상품군을 중심으로 거래액이 급등하며 1억원 이상 판매된 상품이 300여 개에 달했다.
2400만명 이상 고객은 모바일인덱스 기준, 누적 방문수(중복 포함) 기준이다.
올해는 숙박상품이 ‘메가히트’ 상품으로 떠올라 ‘신라모노그램 강릉’과 ‘파라다이스시티 인천’ 숙박권만 25억원이상 판매됐다.
온라인 최저가 수준으로 준비한 커피·햄버거·피자 등 e쿠폰도 총 50만장 가까이 판매되는 성과를 거뒀다. LG전자, 삼성전자, 로보락 등 국내외 대표 브랜드 인기 디지털·가전 상품을 집선보인 라이브 방송은 많은 고객을 불러모으며 거래액 130억원을 돌파했다.
박현수 11번가 대표는 “수익성 강화를 최우선으로 삼아 실적 개선 흐름을 다져갈 것”이라며, “내실을 기반으로 새로운 성장을 창출하며 커머스 업계 선도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이태영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