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IAA서 콘퍼런스 열고 비전 발표
독자 플랫폼 웹OS, 차량으로 확장
"이동 수단서 생활 공간으로 바꿀 것"

LG전자는 9일(현지 시간) 독일 뮌헨에서 개막한 'IAA 모빌리티 2025'에 참가해 콘퍼런스를 열고 미래 모빌리티 사업 비전을 발표했다. 콘퍼런스에는 LG전자 전장 사업을 이끄는 은석현 VS사업본부장(부사장)이 대표 연사로 나섰다.
은 본부장은 이 자리에서 "LG전자는 헤드 유닛(카오디오 핵심 부품), 디스플레이, 커넥티비티를 아우르는 전장 포트폴리오와 약 70년 동안 가전·정보기술(IT) 분야에서 쌓아 온 노하우를 기반에 두고 SDV 시대를 선도하는 독보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차량을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닌 바퀴 달린 생활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오는 2030년까지 누적 2000만 대에 달하는 차량에 웹OS를 탑재할 계획이다. 은 본부장은 "웹OS는 2억4000만 대 이상 스마트 TV에 적용된 독자 플랫폼"이라며 "집에서 즐기던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차량에서도 자연스럽게 이어갈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차량용 웹OS는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인 'LG채널'을 비롯해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 유튜브, 티빙 같은 다양한 인기 콘텐츠 플랫폼을 지원한다. LG전자는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연말까지 디지털 예술품 감상 서비스 바사리, 유럽 스트리밍 서비스 라쿠텐TV 등을 추가로 탑재할 예정이다.
LG전자는 자동차 산업의 핵심 미래 키워드인 SDV 시장에서 차량용 webOS 콘텐츠 플랫폼 등 인포테인먼트 영역뿐 아니라 운전자의 안전을 지키는 인캔빈 센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등 SDV 토탈 솔루션을 완비하며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웹OS 생태계 확장의 밑바탕에는 차량용 종합 솔루션 'LG 알파웨어'가 있다. LG 알파웨어는 증강현실(AR)·혼합현실(MR) 기술로 길 안내를 하거나 운행 중 위험 요소를 운전자에게 알리고, 탑승자 행동을 분석해 안전한 주행을 돕는 기술 결합체다.
LG전자는 지난 4월 한 운영체제로 여러 디스플레이에서 서로 다른 콘텐츠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동시 다중 사용자(CMU) 기술을 공개하기도 했다.
LG전자는 이러한 기술력을 인정받아 제너럴모터스(GM)로부터 '최우수 크리에이티비티 팀'에 선정된 데 이어 글로벌 자동차 미디어 모터트렌드 주관 '2025 SDV 이노베이터 어워즈'를 수상한 바 있다.
성상영 빅데이터뉴스 기자 showing1991@naver.com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