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사 겨냥 '디지털 콕핏' 등 SDV 경쟁력 알려

삼성디스플레이는 오는 9일 독일 뮌헨에서 개막하는 자동차·이동 박람회 'IAA 2025'에 참가해 미래 자동차에 탑재될 혁신 기술과 고객사 맞춤형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대거 공개한다고 8일 밝혔다. 미래차 산업에서 핵심 부품으로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떠오른 가운데 삼성디스플레이는 OLED의 비전과 가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디지털 콕핏' 견본이 소개돼 관람객 눈길을 끌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콕핏은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의 시선과 손길이 닿는 곳마다 다양한 크기·형태를 가진 OLED 디스플레이가 자리 잡고 있는 게 특징이다.
각 부위별로 보면 운전석에는 10.25형 무빙 클러스터(수납형 계기반)가, 동승석에는 화면 2개를 연결한 34형 대화면이 각각 설치된 모습이다. 무빙 클러스터는 주행 중에는 계기반 역할을 하다가 차량이 멈추면 대시보드 아래로 숨길 수 있게 설계됐다. 34형 대화면은 CID(중앙 정보창)과 PID(승객용 정보창)으로 구성돼 한 화면처럼 영상을 보여주거나 각각 다른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운전석과 동승석 사이 센터페시아에는 14.4형 '플렉시블L' 디스플레이가 놓였다. 'ㄴ'자 형태로 구부러진 블렉시블L 디스플레이는 공조 조작부와 차량 상태 정보·설정 화면 등으로 활용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IAA에서 완성차·부품 고객사를 대상으로 기술·소재·부품을 집약한 '리지드 OLED 기반 OTS(선반에서 바로 꺼내 쓸 수 있도록 규격화 된 제품) 솔루션'도 처음으로 공개한다. 이 솔루션은 고객사가 상품 기획과 개발 과정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미리 플랫폼 형태로 구성된 OLED 디스플레이 집합체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운전석, 조수석, 센터페시아, 뒷좌석, 천장 등 다양한 공간에 적용되는 동시에 변형된 형태의 대화면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리지드 OLED와 멀티 라미네이션(다중 결합) 기술을 활용하면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기존보다 경쟁력 높은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명 자동차 디자이너와 협업해 미래차 방향을 선보이는 전시 구역도 마련됐다. 이곳에서는 프랑스 출신 자동차 디자이너 알방 르하이에가 그려낸 아웃 폴딩(바깥으로 접기), 롤러블(말아 넣기) 디스플레이를 차량 실내에 적용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밖에 삼성디스플레이는 IAA에서 차량용 OLED 브랜드 '드라이브(DRIVE)'를 처음 공개하고 사업 의지를 드러낼 계획이다. 브랜드명에는 디자인(D), 신뢰성(R), 지능형 기술(I), 고품격(V), 확장성(E) 등 차량용 OLED의 5가지 핵심 기술 특성이 반영됐다.
이주형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부사장)은 "OLED는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로 진화하는 미래 모빌리티의 디지털 플랫폼으로서 가장 적합한 디스플레이"라며 "이번 IAA 2025에서 글로벌 고객들과 만나 새 브랜드를 소개하고 차량용 OLED 분야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지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성상영 빅데이터뉴스 기자 showing1991@naver.com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