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의 글로벌 대중화 위한 해법 모색

지난 28일 오후 서울 코사이어티 성수에서 열린 토크쇼에는 사전 신청을 통해 선정된 70명의 청중이 함께했다. 평일 저녁임에도 불구하고 참가 신청이 쇄도해 공지 당일 조기 마감됐다.
이번 행사의 모더레이터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190만 구독자와 활발하게 소통하고 있는 방송인 겸 작가 조승연이 맡았다. 이 외에도 요리를 사랑하는 배우 류수영, 미쉐린 3스타 안성재·강민구 셰프의 스승으로 알려진 조희숙 셰프, 국내 유명 외식 프랜차이즈 식당들을 기획한 '바비정' 정동우 대표가 패널로 참여했다.
토크쇼는 김치를 문화적 언어로 바라본 '지금 김치를 말하다', 세계 식문화 속에서의 김치와 그 확장 가능성을 논의한 '김치의 국경을 넘다', 미래 식문화에 대한 가능성을 탐구한 '김치라는 코드' 등 세 가지 세션으로 구성됐다. 각 세션이 마무리된 후에는 질의응답 코너를 통해 청중들이 패널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각 패널들은 한국인의 식탁에서 김치가 갖는 정체성과 상징성을 시작으로, 글로벌 무대에서의 김치의 위상 변화에 대해 입체적으로 조망했다. 특히 프랑스 와인, 일본 라멘 등 세계화 성공 사례와 비교하며 김치의 글로벌 대중화를 위한 해법을 모색했다.

조사 방식은 '종가 김치' 키워드로 분석했으며, 한글 기준 15자 이내인 경우만 결과값으로 도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실제 정보량은 달라질 수 있다.
최근 30일간 종가 김치 관련 포스팅 수는 2597건으로 직전 30일 1847건 대비 750건, 40.61% 증가했다.
이번 분석을 통해 최근 30일간 종가 김치에 대한 고객 관심도는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한시은 빅데이터뉴스 기자 hse@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