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료에 따르면 조선 성종 24년 양력 4월 5일, 성종이 동대문 밖 선농단에서 직접 밭을 일군 날을 기념해 1946년 식목일이 제정됐다고 알려져 있다. 그후 80년이 다되도록 식목일은 4월 5일로 굳어져 있지만, 식목일의 온도에는 큰 변화가 생겼다.
이날 국정감사에서 안 의원은 산림청장에게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나무를 심기에 가장 알맞은 온도는 6.5도인데, 이는 4월이 아닌 3월의 평균 기온과 더 가까워 실제 올해 많은 전국 지자체와 산림·환경 관련 단체들은 나무심기 행사를 3월에 진행하고 있다며 식목일의 실효성이 사실상 많이 퇴색된 점을 설명했다.
이어서 안 의원은 국민적 공감대가 더 커져야 한다는 산림청의 판단에는 동의하지만, 이미 식목일이 되기 전에 대부분의 식목행사가 완료되고, 앞으로는 식목일에 나무를 심는 사람들이 점점 더 줄어들 것이 자명한 만큼, 4월 5일이라는 날짜의 상징성과 역사성 때문에 식목일을 앞당기지 못한다면, 식목일에 남는 것은 결국 껍데기 뿐일 것이라며 식목일 조정 필요성을 주장했다.
안 의원은 산림청장에게 “산림청도 단지 국민들의 인식이 변할 때까지 기다릴 것이 아니라 식목일 조정에 관련된 연구용역, 홍보강화 등을 적극적으로 해나가야 한다”라며 산림청의 적극적인 노력을 촉구했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