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협은 이번 간담회에서 쌀 소비의 급격한 감소와 쌀값 하락에 대응하는 쌀 가공사업 활성화 방안을 집중 논의하였다. 지난해 1인당 쌀 소비량이 56.9㎏으로 1990년 소비량 119.6㎏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쌀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가공식품 육성을 통한 새로운 쌀 소비처의 창출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농협은 앞으로 △가공 전용 쌀 품종인 분질미(가루쌀)를 활용한 가공식품 제조기술 연구 및 상품화, △소화·흡수가 밀가루보다 좋은 쌀의 강점을 살린 차별화된 상품 개발(간편식·디저트·식품소재 등), △소비트렌드 변화에 대응한 즉석밥 사업 활성화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분질미’는 쌀의 한 종류이지만 전분 구조가 밀가루와 비슷해 빵이나 떡과 같은 가공제품을 만드는 데 유리해 밀가루 수요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농림축산식품부는 식량안보 확보와 쌀 과잉문제 해결의 돌파구로 분질미를 활용한 가공산업 활성화를 중점 추진 중이다.
농협은 이러한 정부 정책에 부응해 밀 수요의 일부를 분질미로 대체하거나 분질미를 활용한 새로운 쌀 가공식품 개발을 위해 R&D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또한 농협의 식품 연구개발 플랫폼인 ‘프랜즈’를 통해 ‘분질미 활용 가공식품 아이디어 공모전’을 오는 10월 6일까지 진행한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