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사이언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와 '팬데믹 사이언스' 협약 체결

심준보 기자

2021-10-28 18:00:00

 개빈 스크리튼 교수, 트레레사 램브 교수, 앤드루 폴라드 교수,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 사장, 루이스 리처드슨 부총장, 살마 어바시 교수, 김장희 코리컴퍼니 법인대표, 이선로 코리이태리 법인대표(왼쪽부터)/사진 제공 = 한미사이언스
개빈 스크리튼 교수, 트레레사 램브 교수, 앤드루 폴라드 교수,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 사장, 루이스 리처드슨 부총장, 살마 어바시 교수, 김장희 코리컴퍼니 법인대표, 이선로 코리이태리 법인대표(왼쪽부터)/사진 제공 = 한미사이언스
[빅데이터뉴스 심준보 기자] 한미사이언스는 28일 옥스퍼드대학교와 함께 COVID19 및 포스트 팬데믹(Post Pandemic)을 대비, 신·변종 감염병 예방을 위한 포괄적 연구 개발 협약과 팬데믹 사이언스 동맹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현지 시각으로 26일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한미사이언스 임종윤 대표이사와 옥스퍼드대학교 루이스 리처드슨(Louise Richardson) 부총장이 본 협약서에 직접 서명하며 향후 진행될 공동 연구개발에 대한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이번에 한미사이언스와 협약을 체결한 옥스퍼드대학교는 학내에 옥스퍼드 백신 그룹(Oxford Vaccine Group, OVG)’을 운영하며 백신 개발을 위한 임상 설계와 수행 분야에서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옥스퍼드 백신 그룹에는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백신을 최초로 임상을 맡은 앤드루 폴라드(Prof. Andrew Pollard) 교수가 의장으로 있다.

임종윤 대표는 기존 승인된 백신 제품들이 원료, 원액, 병입이라는 여러 곳에서 분업 생산하는 점을 지적하며 바이오 생산, 특히 유전체를 포함한 리피드 구조가 이러한 유통 과정을 견디지 못하는 까다로운 물질이라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부작용과도 직결되므로 차세대 백신의 개발, 한 지붕 전용 시설, 대학과 지속적인 연구 동맹 관계를 강조했다.

또한, 영국 옥스퍼드 백신 그룹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개발하고 임상을 진행했던 기존 시설에 긴급 이동식 생산 설비 확장, mRNA 백신 이외, 식물 생산 백신, DNA 백신, 바이럴 벡터 백신 후보물질의 검증과 임상, 디지털을 다중치료 방식인 MDT 프로그램, 한국의 대량 생산 역할을 기반으로 저소득국가가 필요한 글로벌 필수 백신 공급, 빅데이터 센터 활용과 인재창출을 위한 대학 간 교환 프로그램 등을 추가 제안했다.
한미사이언스 컨소시엄은 전 세계 보급이라는 공통 목표를 가지고 있는 한미약품, 코리, 진원생명과학, 이노비오, 바이오앱그린백신, 헤링스디지탈의료, 명지의료재단, GS네오텍, 포스텍과 포항시 등이 참여 중이다.

심준보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