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인이 병원을 방문하는 원인 1위, 감기 아닌 치주질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9년 '외래 다빈도 상병 통계' 결과 치은염 및 치주질환은 총 환자 수 1천673만명,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총액 1조5천321억원으로 환자 수와 급여비 총액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치주질환이 줄곧 1위를 차지하던 급성 기관지염(감기)을 앞질렀다.
잇몸이 붓거나 양치할 때 피가 나더라도 아프지 않다는 이유로 간과하는 사람들이 많다. 치주질환은 ‘침묵의 병’이라 불릴 정도로 어느 정도 진행되기 전까지는 환자 스스로 문제를 인지하기 힘들다. 이에 전문가들은 잇몸이 자주 붓고 피가 나는 건 잇몸의 '긴급 구조신호'일 수 있다며 조기에 치과를 찾아 정기 검진과 스케일링으로 예방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 치료 받으면 끝? ‘정기 관리’ 매우 중요
◆ 스케일링 1년에 한번? 환자 상태에 따라
치주상태의 점진적인 변화는 환자 본인이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때문에 코로나19 등의 상황으로 치과를 방문하기 힘들었다면 지금부터라도 치과 방문 계획을 세워 구강 상태를 검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만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일 년에 한 번 스케일링(치석 제거)에 대해 건강보험을 적용한다. 이 같은 제도를 이용해서 치주질환 예방 및 치주건강 유지·관리에 근간이 되는 스케일링을 꼭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 일부 환자들은 치주 상태에 따라 일 년에 한 번 스케일링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때문에 스케일링 주기는 환자 특성에 따라 진행하는 것이 좋다.
박대윤 원장은 “40대 이상부터 치주질환 유병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치과 방문을 소홀히 하면 안 된다”며 “아울러 30대의 잇몸 상태가 60대 이후의 치아 개수와 관계 있다는 통계 결과가 있기 때문에 젊었을 때부터 치과 정기검진을 챙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준보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