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따라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3.3%로 최근 5년간 최대치를 달성했으며 당기순이익은 같은 기간 159억 원 늘어난 132억 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코로나19 확산 속에서도 차별화 역량을 기반으로 키즈 · 시니어 경로 확대 및 제조 등 성장성 높은 분야 위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한 것이 주효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식자재 유통 부문은 4,35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3% 줄었지만, 급식·외식 경로 매출이 2,496억 원으로 21.5% 증가하며 하락폭을 줄였다. 급식 경로는 초·중·고교 등교일수가 전년 대비 늘어나면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키즈 · 시니어 경로가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키즈 경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5.7% 증가했다. 건강하고 안전한 식재료 공급은 물론 학부모, 보육교사, 영유아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해 제공한 점이 주효했다. 시니어 경로 역시 식단 및 교육 지원 등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매출이 27.9% 성장했다.
단체급식 부문의 매출은 전년 대비 8.7% 늘어난 1,186억 원을 기록했다. 1만여개 메뉴 DB를 활용한 다양한 메뉴와 특식 제공 등을 통한 차별화로 2분기 전체 신규 수주 매출은 전년 대비 93% 증가했다. 특히 산업체 · 오피스 경로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삼성디스플레이 등 대형 수주에 힘입어 매출이 244% 증가했다.
CJ프레시웨이는 급식 중심의 기존 사업에 마케팅과 IT 역량을 추가해 코로나19로 급변한 시장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오픈 이노베이션 개념을 기반으로 신사업을 구체화 하고 핵심 보유역량인 상품과 콘텐츠를 고도화 해 차별성을 높여가겠다는 계획이다.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상반기에는 코로나19 확산의 어려움 속에서도 수익성 강화를 위한 선택과 집중으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며 “하반기에는 경영비전 및 중장기 전략 개편을 통해 근본적인 사업 변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심준보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