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브라질의 바이아 연방대학교(Federal University of Bahia)의 마르코스 페레이라(Marcos Pereira) 교수 연구팀이 식품분야 국제 학술지인 ‘식품학 및 영양학에 관한 비판적 고찰’(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D 결핍 환자의 경우 코로나19가 더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에 걸린 성인 및 노인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비타민D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체계적인 문헌 검토 및 메타 분석을 진행한 결과, 비타민D 결핍은 코로나19 감염 가능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중증 환자군에서는 경증 환자군에 비해 비타민D가 결핍된 환자의 비율이 64%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타민D가 결핍된 코로나19 환자는 비타민D가 결핍되지 않은 환자에 비해 입원 비율은 81%, 사망률은 82% 더 증가하는 것이 확인됐다. 따라서 연구팀은 비타민D 결핍과 코로나19 질병의 심각성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세계 각국의 과학자, 의사 등 100명의 전문가가 정신건강의학 학술지 ‘노인학 및 노화의 신경 정신과 심리학‘(Geriatrie et Psychologie Neuropsychiatrie du Vieillissement)에 비타민D 섭취 필요성에 대한 공동성명 <비타민D 보충제와 코로나 19: 전문가 합의 및 지침>을 발표하기도 했다. 비타민D 결핍(혈청 25-OH 비타민D 농도 50 nmol/L (20ng/ mL) 이하)은 코로나19 중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위험 감소를 위해서는 혈청 25-OH 비타민D 농도를 75 nmol/L (30ng/ mL) 이상을 달성하기 위한 충분한 노력이 필요하며, 매일 4000 IU (100㎍)의 비타민D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
이에 식품이나 보충제를 통해 비타민D를 섭취하는 것이 필요한데, 비타민D가 자연 함유된 식품으로는 등푸른 생선, 어류의 간유, 달걀 노른자 등이 있다.두유, 요구르트 등 비타민D를 강화한 식품도 주요 급원이 될 수 있다. 특히 두유는 콩을 주원료로 한 식품으로, SCI급 과학저널 학술지인 '영양생화학저널’(The Journal of Nutritional Biochemistry)에 발표된 리뷰 연구에 따르면 콩에는 바이러스의 감염 및 증식을 억제하는 제니스테인이 풍부하다. 또 콩은 면역력 향상에 좋다고 알려진 대두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어 요즘 같은 시기의 건강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경호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