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팀은 2008년 1월부터 2019년 8월까지 건국대병원과 중앙대병원 이비인후과에 코피로 입원한 268명의 환자 중 전방 비출혈이 아닌 1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후(후향적) 의무 기록을 분석했다.
그결과, 출혈점이 코의 상부 비중격에 위치한 S-point인 경우가 28.8%로 나타났다. 또 체질량지수(BMI)가 낮은 환자에게서 많이 나타났으며 이 환자들의 경우 경도의 빈혈을 동반한 경우가 많았다.
반대로 S-point가 아닌 후방 출혈은 체질량지수(BMI)가 높은 환자에게서 흔하며 빈혈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고혈압이나 당뇨, 고지혈증, 부비동염 등 기저질환에 따른 출혈점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김진국 교수는 “심한 코피는 대부분 후방 출혈인 경우가 많고 고혈압 등 기저질환이 있으며 비만이 심한 사람에게 흔하다고 알려져 있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심한 코피환자에서 상방 출혈인 S-point 발생률이 의미있게 높고, 많은 사람에게 흔히 발생하며 기저질환과는 관련이 없다는 점을 밝혀냈다”고 의의를 밝혔다.
한편, 이번 논문은 국제 저널인 ‘Brazilian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에 지난 7월 게재됐다.
이경호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