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을 중심으로 한 ‘발효’에 대해 종합적으로 배우는 ‘샘표 우리맛 발효학교’의 교과 과정
직접 장을 담가보며 우리 장과 발효에 담긴 가치 되새기는 기회

이번 행사는 샘표가 매년 진행하고 있는 ‘우리맛 발효학교’의 교과 과정 중 하나로 우리 발효의 중심인 장의 제조 과정을 직접 체험해 보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행사에 참석한 우리맛 발효학교 수강생 40여명은 전문강사의 지도에 따라 2018년 12월 직접 만들어 겨우내 띄운 메주를 손질한 뒤 항아리에 메주를 넣고 간수(소금물)의 온도와 염도를 가늠해 항아리에 붓는 등 전통 장을 담그는 과정을 경험했다. 이날 담은 장은 40~50일의 숙성기간을 거치게 되며 3월 말에 장 가르기를 통해 간장과 된장으로 나눈다.
전주 국제한식조리학교 학생인 브래쉬어 제임스 찰스(BRASHEAR JAMES CHARLES, 만 35세)씨는 “한식이 좋아 한국에 와서 배우고 있는데 전통 장, 특히 발효에 대해 깊이 배우고 싶어서 샘표 우리맛 발효 학교를 수강하게 됐다”며 “장 담그는 과정을 직접 해보니 한식이 갖은 맛의 근원이 어디인지 알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샘표 정정은 우리맛 발효학교 담당자는 “도시에서 전통 장을 담그는 방법을 배울 기회가 많지 않은 만큼 수강생들의 만족도는 매년 높다”며 “단순히 맛있는 장을 담그는 법이 아니라 우리 식문화 속에서 장과 발효가 가진 가치를 느낄 수 있는 계기”라고 덧붙였다.
11월에 시작한 이번 6기 우리맛 발효학교는 3월까지 진행되며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문정훈 교수와 국립농업과학원 홍승범 박사, 샘표 우리발효연구중심 연구원 등 다양한 전문가들의 강의와 실습 등으로 이뤄지고 있다.
최민영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