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동기대비 매출액은 19.1%, 영업이익은 67.2% 크게 증가한 수치이며, 영업이익률은 5.6%를 기록해 외형과 수익성 모두 성장을 지속했다. 당기순이익은 넷마블게임즈 지분법평가차익의 영향으로 845.1% 늘었다.
해외 매출액은 692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대비 95.4% 증가해 2분기에도 콘텐츠 수출 고성장세를 이어갔다.
방송부문은 매출 3,321억원, 영업이익 240억원을 기록하며 이익 안정성을 지속했다. '프로듀스 101 시즌2' '윤식당' '터널' 등 채널별 대표 콘텐츠 강화로 방송 광고시장 부진에 따른 TV광고매출 감소 영향을 방어했다. ‘플랫폼 인 플랫폼(PIP)’ 수익과 MCN사업 ‘다이아 티비’ 성과로 디지털 광고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72.4% 증가하며 고성장했다.
하반기에는 신규 드라마 라인업 및 예능 경쟁력과 편성전략 강화 등으로 콘텐츠 영향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음악부문 매출액은 자체 음반과 음원 매출을 통한 수익성이 확대되며 매출 471억원을 기록했고, 공연부문은 매출 16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50.7% 증가했으나 비수기 대형 라인업 부재로 영업손실을 냈다. 음악과 공연 부문은 3분기 자체 IP개발 등을 통한 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다.
CJ E&M 관계자는 “상반기에는 방송광고 시장 부진했던 가운데, 해외 영화와 경쟁도 심화됐다” 며, “하반기에는 상반기 성과를 바탕으로 또 한번 콘텐츠 경쟁력을 높일 것이다. 자체 제작력을 키우고 해외 시장 확대를 통해 성장을 이어 가겠다” 고 밝혔다.
이승주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