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난맵은 디지털 관리체계를 통해 안정적인 지역난방 시설물 관리를 위하여 2018년 말부터 검토를 시작하여 약 2년여 만에 결실을 맺었다.
한난맵 구축으로 2003년부터 운영했던 GIS(공간정보시스템)의 위치정보 오류를 해결했으며, 전국 4400km에 이르는 열수송시설물의 모든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고, 1만 개 이상의 밸브 및 7천여 지역난방 사용자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또한 공간분석을 통해 사고 및 유지보수 시 차단밸브 위치와 중단 사용자 현황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등 향후 안정적인 열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국가기관인 국토교통부 국가공간정보센터의 지적도, 건축물대장, 수치표고모델 등 120여 종의 공간정보를 연계하였고, 성남시 드론공간정보팀과 협업하여 드론을 활용한 고정밀지도 및 열화상지도를 받아 성남지역 열수송시설 관리에 활용하는 등 정부·지자체와 상호연계 할 수 있는 플랫폼까지 마련하였다.
한난 관계자는 “앞으로 4차산업 핵심기술(IoT, Cloud, Bigdata, Mobile)을 적극 활용하여 한난맵을 기반으로 ‘모바일 점검・진단시스템’ 등을 구축할 계획이며 체계적인 열수송시설물 안전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심준보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