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물류센터 포장 공정 도입 후 완충재 보충 작업 현장 검증 중

CJ대한통운은 로봇 전문기업 로보티즈와 함께 휴머노이드 로봇의 물류 현장 상용화를 위한 피지컬 AI (Physical AI) 기술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달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CJ대한통운 본사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CJ대한통운 김정희 TES물류기술연구소장과 로보티즈 김병수 대표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의 골자는 피지컬 AI 기반 휴머노이드의 현장 상용화다. '피지컬 AI'란 AI가 단순히 디지털 환경을 넘어 현실 세계를 물리적으로 이해·인식하고 행동하는 지능을 의미한다.
CJ대한통운은 물류 작업에 특화된 AI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피지컬 AI를 구현하고, 실제 물류센터 내 휴머노이드 적용 공정을 발굴해 현장 실증과 사업성 검증을 주도한다.
로보티즈는 휴머노이드 하드웨어를 개발·공급하고, CJ대한통운의 운영 시스템 및 AI 소프트웨어와 원활히 연계될 수 있도록 기능을 강화한다. 로보티즈는 로봇 관절 모듈, 액추에이터(구동장치), 제어기 등 핵심 부품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모듈 단위 맞춤 제작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올해 말까지 실증사업을 완료한 후, 내년부터 주요 물류센터에 순차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을 적용하고 본격적으로 상용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김정희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장은 "업계 최초로 시작한 이번 실증은 물류용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를 향한 분수령"이라며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는 결국 데이터 싸움이다. 현장 작업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분석해 휴머노이드와 AI 중심의 새로운 물류 기술 생태계를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이태영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