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질적 성장 및 유럽 맞춤형 제품전략 통해 유럽 1위 가전 브랜드 도약”

성상영 기자

2025-09-05 10:00:00

LG전자 류재철 HS사업본부장이 IFA 2025 현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 중인 모습
LG전자 류재철 HS사업본부장이 IFA 2025 현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 중인 모습
[빅데이터뉴스 성상영 기자] LG전자(대표 조주완) 류재철 HS사업본부장이 4일(현지시간) 獨 베를린 IFA 2025 현장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유럽 가전사업의 비전과 전략을 제시했다.

5일 LG전자에 따르면 류 본부장은 이 자리에서 "북미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프리미엄 시장인 유럽을 공략하기 위해 유럽 맞춤형 제품들을 구성하는데 이번 전시의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유럽은 북미와 함께 세계 최대 가전 시장으로 꼽힌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5년 유럽 가전 시장 규모는 약 150조 원에 달하며 2030년까지 연평균 4.1%씩 커질 것으로 예상될 만큼 성장성도 크다.

LG전자는 북미 가전 시장에서 프리미엄 가전의 대명사로 자리잡으며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유럽에서는 프리미엄과 볼륨존 시장 모두 Top tier 군에서 해외 브랜드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류 본부장은 목표 달성을 위해 "B2B, D2C, Non-HW 등 신성장 사업에 속도를 높이고, 프리미엄뿐만 아니라 볼륨존 공략을 강화해 성숙기에 도달한 유럽 시장에서 수익성과 외형성장 모두 퀀텀점프하겠다"고 강조했다.
◆ B2B ∙ D2C ∙ Non-HW 등 질적 성장 영역에 집중해 흔들림 없는 수익구조 확보

류 본부장은 "유럽 가전사업의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B2B(기업간거래), D2C(소비자 대상 직접판매), Non-HW(소프트웨어∙서비스) 등 수요∙가격 변동성이 낮고 수익성이 담보된 사업 구조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고 질적 성장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B2B 영역에서는 유럽이 좁은 가옥 구조 때문에 빌트인 수요가 높은 점을 고려해 빌트인 가전 부문을 집중 육성한다.

빌트인은 건설사가 주거시설을 지을 때 직접 가전제품까지 같이 공급하거나, 내장재 공급 전문회사들이 가전까지 같이 공급하는 대표적 B2B 시장이다. 가전을 공급하는 브랜드를 결정할 때 사업 안정성, 제품 내구도, 유지보수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지만, 지속적인 파트너십으로 대규모 매출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중요하다.

LG전자는 유럽 내 빌트인 매출을 2030년까지 10배 이상 퀀텀점프시켜 약 240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는 유럽 빌트인 시장에서 Top5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B2B 전문 조직을 강화하는 동시에, 합리적인 가격과 고급 기능을 함께 갖춘 매스 프리미엄 브랜드 'LG 빌트인'을 중심으로 빌트인 가전 사업을 재편한다. 빌트인 사업 운영 국가도 현재 이태리, 스페인 등 남유럽 위주에서 서유럽, 북유럽 등 프리미엄 시장으로 확대 전개한다.

상업용 세탁가전 라인업 'LG 프로페셔널'도 유럽에 출시한다. 유럽은 관광산업이 발달했고, 노인 인구가 많아 호텔, 병원 등을 중심으로 상업용 세탁가전 수요가 높다. AI 기술을 적용해 세탁∙건조 시간과 에너지 사용량을 대폭 줄이고, 자체 관리 솔루션이 없는 빨래방 운영자를 위해 전용 앱 '런드리크루(Laundry Crew)'도 제공한다.

◆ 유럽 특화 제품으로 프리미엄·볼륨존 투트랙 전략 강화, 유럽서도 '가전=LG' 확립

LG전자는 유럽 시장 공략을 위해 고효율, 디자인, 편의성 등 유럽 현지 맞춤형 제품군을 대거 내놓는다. 프리미엄에서 인정받은 품질과 기술을 볼륨존으로 확대하고 볼륨존에서도 수익성을 높여 시장 지배력과 수익성 모두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우선 프리미엄 시장에서 'AI 코어테크'에 기반한 최고 수준의 고효율 제품을 통해 에너지 절감이 화두로 떠오른 유럽 시장에서 주도권을 강화한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인 LG전자 A-70% 세탁기, A-40% 바텀 프리저 냉장고, A-10% 세탁건조기는 EU A등급보다 에너지를 각각 70%, 40%, 10% 적게 쓰는 제품으로, 모두 업계 최고 효율을 갖췄다.

LG전자는 IFA 2025를 계기로 유럽 시장에 'LG 씽큐 AI' 서비스를 본격 론칭해 AI 가전 대세화에도 앞장선다. 씽큐 AI는 △기존 가전에 새로운 AI 기능을 지속 업그레이드하는 '씽큐 업(ThinQ UP)' △고장이나 이상징후 등 제품 상태를 손쉽게 관리하는 '씽큐 케어(ThinQ Care)' 등 2가지가 핵심이다.

한편 유럽 소비자매체들이 발표한 제품 성능 평가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LG전자 냉장고는 유럽 8개국 19개 평가 부문, 세탁가전은 5개국 8개 평가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성상영 빅데이터뉴스 기자 ssy@thebigdata.co.kr, showing1991@naver.com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