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2025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해커톤 성료

임이랑 기자

2025-08-28 15:53:30

국내 최초 250m 격자 생활이동 데이터 제공

ⓒ KT
ⓒ KT
[빅데이터뉴스 임이랑 기자] KT(대표 김영섭)는 지난 27일 서울시립대학교 100주년기념관에서 서울특별시, 서울시립대학교와 함께 '2025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해커톤'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올해 처음 열린 이번 해커톤의 주제는 '생활이동 데이터로 살기 좋은 수도권을 디자인하라'였다. 대회는 생활이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도권의 다양한 도시 문제 해결책을 발굴하고, AI 실무 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총 88개 팀이 참가했으며, 본선에는 학생부와 일반부 각 8팀이 올라 치열한 경합을 펼쳤다.

KT가 제공한 생활이동 데이터는 국내 최초로 수도권 전체를 250m 격자와 20분 단위로 집계한 정밀 데이터다. 이 데이터는 출근·등교·쇼핑·관광 등 7가지 이동 목적과 지하철·버스·차량·항공 등 8가지 이동 수단, 성별·연령대별 세분화 분석이 가능하다.

기존 교통카드 데이터가 일부 구간 정보에 그쳤다면, 생활이동 데이터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포함한 전 구간 이동 분석이 가능해 교통 사각지대 해소, 직행버스 신설, 환승센터 입지 선정 등 도시정책 수립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데이터는 교통 분야를 넘어 주거·의료·상권 분석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년층 출퇴근과 생활 SOC 접근성을 반영한 공공임대주택 입지 선정, 병원 방문 데이터를 통한 의료취약지 진단 및 지역 맞춤형 보건정책 수립, 관광객 이동 경로 분석, 지역별 상권 활성화 전략 마련까지 도시정책 전반에 기여 가능성이 크다.
KT는 총 1000만원 규모의 상금을 지원했으며, 일부 우수 아이디어는 실제 정책 반영과 사업화까지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KT 서비스Product본부장 김영걸 상무는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교통, 주거, 의료 등 시민의 삶과 직결된 문제 해결의 핵심 자산"이라며,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를 확장하고, 시민 삶의 질 향상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임이랑 빅데이터뉴스 기자 lim625@thebigdata.co.kr, iyr625@naver.com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