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아' 중심으로 AI 전환 박차

SK하이닉스는 14일 자사 뉴스룸을 통해 생성형 AI 로드맵을 공개했다. 핵심은 반도체 업무에 특화된 자체 생성형 AI 플랫폼 '가이아(GaiA)'를 현장에 도입하는 것으로 SK하이닉스는 직원들이 보안망 안에서 안전하게 AI를 활용하고 부서·업무별 맞춤형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그리스 신화 속 땅의 여신에서 이름을 딴 가이아는 반도체 제조 현장과 지원 부서 전반에 에이전틱 AI를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는 AI가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작업 계획을 수립·수행하는 방식이다. 가이아는 현업 전문가의 피드백을 반영해 지속 진화한다.
SK하이닉스는 장비 보전, 글로벌 정책·기술 분석, 인사 제도, 회의 지원 등 반도체 생산·운영에 직접 적용 가능한 업무 특화 AI 서비스도 시범 공개했다.
또한 이달 초에는 전사 구성원이 안전하게 사내용 대형 언어 모델(LLM)을 쓸 수 있는 'LLM 챗'을 선보였다. SK텔레콤과 함께 범용·전문 업무를 아우르는 AI 비서 '에이닷 비즈'도 개발 중이다. 에이닷 비즈는 회의록 작성, 보고서 작성은 물론 구매·채용·세무·법무·홍보 등 전문 업무까지 지원하며 오는 11월 정식 공개가 목표다.
올해에는 에이전틱 AI와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단계로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은 여러 AI가 상황에 맞춰 역할을 나누고 순서를 조율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 SK하이닉스가 목표로 삼는 차세대 AI 혁신의 완성판이다.
SK하이닉스는 향후 업무 특화 서비스, LLM 챗, 에이닷 비즈를 통합한 고도화된 에이전틱 AI를 개발하고 이를 반도체 공정 내 모든 시스템과 연계한 스마트 공장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세계가 주목하는 에이전틱 AI를 반도체 산업에 특화해 전사에 접목하고 효율성과 혁신성을 동시에 끌어올리겠다"며 "올해 안에 오케스트레이션 기술로 한 단계 더 진화한 AI 혁신을 완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상영 빅데이터뉴스 기자 ssy@thebigdata.co.kr, showing1991@naver.com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