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 'K-디스플레이 전시'서 초미세 올레도스 기술력 공개한다

성상영 기자

2025-08-07 07:55:24

7~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K-디스플레이 2025' 삼성디스플레이 부스 전경
7~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K-디스플레이 2025' 삼성디스플레이 부스 전경
[빅데이터뉴스 성상영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혼합현실(XR) 기기용 초미세 올레도스(OLEDoS:OLED on Silicon) 제품을 앞세워 'K-디스플레이 2025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이하 'K-디스플레이 2025')'를 찾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Exploring Future Lifestyles with OLED Innovation!'을 주제로 7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COEX)에서 열리는 'K-디스플레이 2025'에 참가한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는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춰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초미세 올레도스(OLEDoS:OLED on Silicon) 패널을 통해 초고해상도 XR 기기의 활용 가능성과 생생함을 간접 체험할 수 있다. 화면 밝기가 6,000니트에 이르는 스마트워치용 마이크로 LED 워치도 최초 공개돼, 웨어러블 기기의 미래를 상상해볼 수 있다.

이밖에도 OLED, QD-OLED 등 압도적인 화질의 프리미엄 디스플레이 기술이 우리의 일상 속에서 어떤 즐거움과 가치를 제공하는지 다양한 체험형 전시를 통해 경험할 수 있을 전망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행사에서 1.3형 4,000PPI 해상도(10,000니트) 화이트(W) 올레도스의 화질을 체험할 수 있는 양안 데모제품을 전시한다. PPI(Pixel Per Inch)는 1인치당 픽셀 수를 나타낸다. 최신 스마트폰의 PPI가 500PPI 안팎인 것을 감안하면, 스마트폰보다 픽셀이 8배 더 조밀한 디스플레이를 경험해볼 수 있는 기회다.
차세대 스마트워치용으로 개발된 6,000니트 밝기의 마이크로 LED도 최초로 공개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앞서 올초 CES 2025에서 4,000니트 밝기의 워치형 마이크로 LED 제품을 공개했는데, 이보다도 2,000니트 더 밝은 제품을 반년 만에 새롭게 선보이는 것이다. 6,000니트 밝기는 기존 공개된 워치형 제품 중 최고 수준으로, 발광 효율을 대폭 개선한 점이 주효했다.

이 제품의 해상도는 326 PPI로, 직사각형 모양의 워치용 패널 안에 30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이하 크기 적(Red), 녹(Green), 청(Blue) 색상 LED 칩을 약 70만 개 전사했다. 디스플레이를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며, 구부려도 보는 각도에 따라 휘도와 색이 변하지 않는다.

삼성디스플레이의 화질 우수성을 직관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저명한 현대 미술 작가와 협업해 구성한 'OLED 갤러리' 또한 볼거리다.

강렬한 색채로 초현실적 세계를 그려내는 바심 마그디(Basim Magdy), 화려한 꽃 정물화 등으로 하이퍼 리얼리즘을 담아내는 마크 데니스(Marc Dennis)의 유명 작품들이 업계 최고의 색 재현력을 자랑하는 삼성디스플레이 제품 위에서 다시 태어난다.

소위 '게임 좀 하는' 소비자들이 열광하는 OLED 제품으로 꾸며진 게이밍룸도 이번 전시회의 볼거리다. OLED는 어두운 이미지(저계조) 표현력이 우수하고 모션 블러(motion blur, 화면 전환 시에 나타나는 끌림 현상)가 적어 게이머들이 선호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게임을 즐기는 방식에 따라 차별화된 OLED 경험 시나리오를 이번 전시를 통해 선보인다.

게임의 승률을 높이기 위해 디스플레이 사양까지 고려하는 헤비 게이머의 경우 올 초 삼성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자발광 모니터로 500Hz를 구현해 선보인 27형 QHD(2560x1440) 제품이나 자발광 최고 픽셀밀도를 자랑하는 27형 UHD(3840x2160) 제품을 고려할 만하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는 국가전략기술인 한국디스플레이의 경쟁력과 디스플레이 기술의 가치를 일반 소비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행사"라며 "올해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준비하고 있는 올레도스 같은 혁신 기술이 우리의 일상을 어떻게 바꿔놓을지 미래를 상상하고 체험해볼 수 있는 특별한 전시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성상영 빅데이터뉴스 기자 ssy@thebigdata.co.kr, showing1991@naver.com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