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석포제련소 폐쇄" 몽니에 영풍 노조 "생존권 짓밟는 짓"

성상영 기자

2025-06-19 13:53:10

"굴착기 사고 피해자에 애도…사실 관계는 달라"
"환경·안전 개선 노력 외면…주민·노동자 목소리에 귀 막아"

경북 봉화군 석포면 영풍 석포제련소 전경 ⓒ연합뉴스/봉화군
경북 봉화군 석포면 영풍 석포제련소 전경 ⓒ연합뉴스/봉화군
[빅데이터뉴스 성상영 기자] 최근 발생한 영풍(000670) 석포제련소 굴착기 전도 사고로 시공 업체 측 외주 근로자 1명이 숨진 것을 두고, 지역 환경단체가 제련소 폐쇄를 주장하자 노동조합이 "주민·노동자 생존권을 짓밟고 있다"며 강도 높게 비판하고 나섰다. 기본적인 사실 관계를 왜곡한 채 석포제련소 폐쇄를 위한 여론 몰이에 사고를 악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영풍석포제련소노조는 19일 '고인의 죽음을 선동 도구로 삼는 환경단체의 비열한 행태를 강력히 규탄한다'는 제목으로 성명을 내고 이같이 밝혔다. 영풍제련소 주변 환경 오염 및 주민 건강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가 같은 날 석포제련소 폐쇄·이전을 주장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한 데 따른 입장을 낸 것이다.

노조는 "해당 사고로 인해 소중한 생명이 희생된 것에 깊은 애도를 표하며 유가족 여러분께 진심 어린 위로 말씀을 전한다"면서도 "(공대위 측이) 사실 관계조차 파악하지 않은 채 사망 사고 보도가 나오자마자 이를 자신들의 주장에 끼워 맞추기 위한 선동 수단으로 악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노조는 "영풍이 외부 시공 업체에 발주한 공사에서 발생한 것"이라며 "시공과 현장 안전 관리는 전적으로 해당 업체가 전담해 수행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공대위는 "지난 13일 하청노동자 1명이 야적장에서 작업 도중 토사에 묻혀 숨지는 끔찍한 사고가 발생했다"면서 정부에 석포제련소 폐쇄·이전을 촉구했다.

그러나 노조는 석포제련소 폐쇄가 현실이 되면 지역 주민의 생계가 위협받을 것이라며 맞서고 있다. 노조는 "환경단체는 입만 열면 주민과 노동자의 생명·안전을 외치지만 정작 석포제련소를 중심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지역 주민과 노동자의 목소리에는 철저히 귀를 막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영풍 석포제련소는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 있는 아연 제련 공장이다. 공대위는 낙동강 상류와 접한 제련소에서 카드뮴을 비롯한 중금속이 유출돼 수질 오염이 발생한다는 의혹을 제기해 왔다. 환경부 산하 낙동강 상류 환경 관리 협의회가 2019년 발표한 조사 결과 석포제련소~안동댐 구간에서 카드뮴이 검출된 만큼 석포제련소를 옮겨야 한다는 게 공대위 측 주장이다.

이와 달리 영풍 측은 2021년 5월부터 석포제련소에 오·폐수 배출 자체를 차단한 무방류 시스템을 도입해 수질 오염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입장이다. 노조 역시 "환경 개선과 안전 관리 강화를 위해 노조와 회사가 다년간 지속해 온 노력에 대해서는 철저히 외면하면서 이미 해결되었거나 오래전 일이 된 사안을 계속 꺼내 들며 제련소 폐쇄와 이전을 요구하는 억지 주장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성상영 빅데이터뉴스 기자 showing1991@naver.com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