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6% 기록해 평균 수익률 크게 웃돌아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5월 30일 종가 기준 한국투자디딤CPI+펀드(C-Re 클래스)의 설정 이후 수익률은 9.36%로 국내 설정된 전체 디딤펀드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체 디딤펀드 평균 수익률(3.72%)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연이어 2위와 3위도 한국투자디딤CPI+펀드가 차지했다. 한국투자디딤CPI+펀드(C-Pe 클래스)와 한국투자디딤CPI+펀드(A-e 클래스)의 설정 이후 수익률은 각각 9.35%, 9.31%로 나란히 상위권에 올랐다. 6개월 수익률은 각각 4.33%(C-Re), 4.32%(C-Pe), 4.30%(A-e)를 기록했다.
한국투자디딤CPI+펀드의 성과는 포트폴리오 내 전통 자산인 호주 주식과 미국 물가채, 대체 자산인 금, 원자재, 부동산, 인프라 등 소비자물가상승률과 관련성이 높은 자산을 포함해 가능했다는 평가다. 해당 펀드는 출시 당시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대비 4.5%포인트 초과 수익률을 목표로 설정했다. 2001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국내 연평균 CPI 증가율(2.5%)을 감안하면 연 7% 수익률을 목표로 한 셈이다.
해당 펀드는 인플레이션 방어에 주력한 중위험·중수익 구조로 안정적인 수익 추구를 목표로 하는 대표적인 밸런스드 펀드(BF)다. 장기 연금투자에 최적화된 자산배분전략을 활용해 투자위험이 상이한 다양한 자산에 분산투자하며, 은퇴자금 적립기와 인출기에 모두 활용 가능하다. 물가상승률보다 초과 수익을 목표로 하되 투자위험은 낮춰 퇴직연금 계좌 내에서 100% 투자가 가능하다.

이번 분석을 통해 최근 1년간 한국투자신탁운용에 대한 온라인 관심도는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5월 락**라는 네이버블로거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CD금리&초단기채권액티브 ETF가 종목을 변경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그는 "해당 ETF가 단기 금융상품에 집중 투자해 단기 금리 등락을 펀드 수익률에 반영하는 머니마켓펀드 운용전략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며 "높은 안정성과 원금 손실 위험이 낮다"고 설명했다.
한시은 빅데이터뉴스 기자 hse@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