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해상은 이번 연구를 위해 지난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자사 자동차보험으로 접수된 교통사고 중 보행자, 자전거, 개인형이동장치(PM) 피해 사고(차대차, 차량단독 사고 등 제외) 약 17만 건을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주민등록인구 1만 명당 교통사고 피해 건수를 분석한 결과, 고령층을 제외하면 7~12세 초등학생 연령 집단의 피해가 가장 많았으며, 그 부모 세대인 30~40대의 피해가 가장 적었다. 7~9세 어린이 피해건수는 67.6명으로 30대 성인 43.3명 대비 1.6배 수준이다.
시기별로 보면, 5~6월에 어린이 교통사고 피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달은 5월 236건으로, 1~2월(111건) 대비 2.1배, 전체 월평균(178건) 대비 1.3배 수준이다. 3040대 사고 피해는 연간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반면, 어린이 사고는 봄철 집중도가 높았다.
시간대별 사고 피해 발생률을 보면, 성인 교통사고는 하루 일과시간에 고르게 분포돼 있으나, 어린이 교통사고는 14~19시의 오후시간대에 60% 이상 집중돼 있다. 이는 연령별 활동 시간 차이에 의한 결과로, 하원·하교하는 시간이나 놀이시간에 어린이 사고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6세 이하 유아의 경우 주차장에서 사고발생이 많은데, 6세이하 경상피해 건의 19%, 중상피해 건의 25%가 주차장 주변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령대 의 주차장 사고 피해건의 비율이 10% 내외인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다.
이는 6세 이하 영유아가 이동할 때, 일반적인 도로변이나 보행로에서는 부모와 함께 이동하지만, 아파트, 마트, 동네 골목길 등 주차장 주변에서 아이가 혼자 있거나 앞서 나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유아의 경우, 키가 작아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거나, 아파트 단지내 도로나 좁은 골목길, 주차된 차량 사이에서 뛰어나오는 사례가 많다.
실제로 연령대별로 갑자기 튀어나온 보행자·자전거·킥보드와 충돌한 사고를 비교해보면, 어린이의 사고 비율이 다른 연령대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세 이하의 유아, 어린이들은 위 유형으로 발생한 사고 피해 비율이 전체 피해건의 29%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단순 피해 건수로 비교해봐도, 초등학생 어린이(7-12세)가 갑자기 튀어나와 발생한 피해 건수는 2368건(연령 1세별 2368·6=395건)인데 비해, 30대는 940건, 40대는 858건(1세별 각각 94건, 86건) 이었다. 1세별 발생 빈도 기준으로 초등학생 어린이의 피해 건수가 3040대 성인 대비 4.4배 더 많이 발생한 것이다.
아이들에게 교통사고 예방 수칙을 가르칠때는 단순히 말을 통해 '차조심 해야한다'라고 하기보다, 실생활에서 보호자와 함께 다닐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구체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이번 분석을 통해 최근 1년간 현대해상에 대한 온라인 관심도는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4월 돌*라는 블로거는 "현대해상 태아보험 다이렉트를 문의, 신청했는데 상담만 받아도 조건없이 아기용품 10종을 선물로 보내줬다"고 말했다. 특히 "현대해상의 태아보험은 업계에서 유일하게 8대 장애를 보장한다"고 설명했다.
한시은 빅데이터뉴스 기자 hse@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