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양 세종병원 화재가 대표적 사례다. 숨진 사람들은 자력으로 대피하기 어려운 '피난 약자'가 다수였다.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았던 것도 문제였지만, 치료 중이거나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를 피난하도록 하지 못한 문제도 있었다. 이들은 연기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화를 입었다.
노인 인구가 크게 늘면서 노인요양시설도 늘고 있다. 다수의 노인이 거주하는 시설은 일반대상물과 다르다. 더욱 세심한 안전관리가 요구된다. 상대적으로 다른 대상물에 비해 피난약자가 많기 때문이다. 소방당국에서 자체적으로 하는 화재진압 훈련만큼이나 대상물에 있는 사람들 또한 자체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소방안전관리자는 건물의 비상구를 항상 개방하고 스프링클러 설비 등 소방시설을 상시 점검해야 할 뿐 아니라 각 층·구역별 관리자들이 소화기, 옥내소화전 및 피난시설 등을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훈련을 실시해 피난 시 행동요령을 숙달토록 지속적으로 교육해야 한다.
또한 구역별 간호사 1~2명의 소수의 인원이 근무하는 야간 병동 같은 경우 화재 발생 시 근무자가 각 병실을 돌며 모든 환자를 대피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미연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