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가 작성한 이 5G 제안요구서에는 KT의 5G 상용망 구축 계획을 반영한 3GPP 표준 기반의 5G 상용시스템 요구사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설명회를 통해 KT는 사업자들에게 평창 5G 서비스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5G 사업방향 및 5G 상용화를 위한 주요 기술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또한 이날 설명회에선 ▲미래 지향적 클라우드 통신 구조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5G 관제 시스템 ▲5G MVI(Multi-Vendor Interoperability) 규격화를 통한 중소기업과의 상생 등을 비롯한 KT의 5G 상용화 중점 추진 사항 등을 설명한다.
한편, 당 제안요구서에는 KT가 NTT 도코모 및 글로벌 제조사와의 기술 협력을 통해 5G MVI(Multi-Vendor Interoperability, 이종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규격을 개발하기로 한 내용도 담겼다. 이 5G MVI 규격 개발이 완료되면 복수 업체 장비의 혼용이 가능해져 이종 장비 업체들이 함께 5G 망 구축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KT는 5G MVI 규격을 조기 개발하고, 5G MVI 규격이 글로벌 표준 규격에 반영될 수 있도록 표준화 활동을 강화해 글로벌 5G 생태계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한다. 아울러 MVI 규격을 통해 대기업 중심의 5G 시스템 공급업체와 중소업체 간 기술 공유의 기반을 마련하여 상생에도 주안점을 둘 방침이다.
이승주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