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뱅크는 서울 상암에 주 전산센터, 경기도 성남에 재난복구(DR)센터, 부산 강서구에 백업센터를 두고 있는데, AI 연구·개발 만을 위한 데이터센터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I 전용 데이터센터’는 서울 상암 주 전산센터와 전용회선으로 연결된다.
카카오뱅크의 ‘AI 전용 데이터센터’는 글로벌 데이터센터 사업자인 디지털 리얼티가 구축한 ‘ICN10 상암 센터’에 자리한다.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 처리장치(GPU) H100을 도입했다. 이 장치는 기존 AI 개발에 쓰이던 A100 GPU 대비 AI 모델 개발을 위한 학습 속도가 7배 이상 빠른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뱅크는 고객 만족을 위해 ‘신분증 인식’, ‘셀카 인증’ 등 안전한 금융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비스, 고객들의 신용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신용평가, 고객 자산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등 △보안, 365일 24시간 고객이 카카오뱅크에 원하는 정보를 물을 수 있는 △AI 고객센터(AICC) 등 다양한 분야에 AI를 적용하는 연구 활동을 지속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KAIST와 금융 분야 설명가능 인공지능(XAI)을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 XAI는 AI가 내린 답에 대해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한 풀이 과정을 설명해주는 기술이다. 특히 고객에 대한 설명 의무가 있는 금융서비스는 AI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오류 및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합리적인 수준의 설명가능성 확보가 필수적인 분야다.
한시은 빅데이터뉴스 기자 hse@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